뷰페이지

양당 피로감에 눈길 끄는 신당… 인물도 정책도 흐릿

양당 피로감에 눈길 끄는 신당… 인물도 정책도 흐릿

김가현 기자
김가현, 김주환 기자
입력 2023-06-20 00:00
업데이트 2023-06-20 06: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개 드는 ‘제3지대’ 성공할까

금태섭 “30석 석권” 9월 신당 예고
양향자 등 내년 총선전 잇단 창당
무당층 35% 여야보다 높아 기대
“신당 성공 드물어” 회의론 교차

이미지 확대
양향자 무소속 의원. 서울신문 DB
양향자 무소속 의원.
서울신문 DB
금태섭 전 의원, 양향자 무소속 의원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신당 창당 등 ‘제3지대’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금 전 의원은 내년 총선에서 ‘수도권 중심 30석 석권’을 목표로 오는 9월 신당을 창당하겠다고 예고했다.

19일 정치권 목소리를 종합하면 제3지대의 관건은 구도·인물·정책인데, 현재로선 어느 하나 뚜렷한 지표가 없어서 기대감과 회의론이 교차한다.

기대감의 근거로는 거대 양당에 대한 피로감으로 시민들이 제3지대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커졌다는 객관적 조건이 거론된다. 지난 5~7일 전국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 포인트)에 따르면 정당별 지지층은 국민의힘 31%, 더불어민주당 26%, 정의당 4%인 반면 ‘태도를 유보한다’는 35%나 됐다.

이에 비해 어떤 ‘인물’과 ‘정책’으로 유권자의 관심과 지지를 이끌어 낼 것인지가 핵심인데 그 부분에서 아직 구체적 구상이 가시화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회의적 시각도 적지 않다. 이런 점을 반영하듯 지난 9~10일 여론조사꽃이 전국 유권자 1000여명을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 포인트), ‘제3신당’을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10.9%에 그쳤다. 갈 곳 잃은 중도층 표심의 3분의2는 신당으로도 모이지 않은 셈이다.

신당에 참여하는 인물군이 마땅치 않은 데다 국민의힘·민주당 이탈 인사들을 영입하기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양당 모두 분당 후 총선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는 위기감 탓에 계파 갈등을 봉합하는 ‘어색한 동거’로 총선을 완주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다만 공천 탈락자들이 합류할 가능성은 있다. 한 민주당 재선 의원은 이날 서울신문에 “양당 내부 경선에서 탈락해서 공천을 받지 못한 사람들을 ‘이삭 줍기’ 하듯 데려가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금 전 의원이 ‘정책 경쟁’을 강조하며 양당 체제에 도전장을 내민 만큼 ‘민생 밀착형’ 정책을 내놓을지도 관전 포인트지만, 현재로선 뚜렷한 정책 구상이 드러나지 않았다. 금 전 의원은 최근 토론회에서 “유권자들은 민생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기존 정치권의 싸움에 관심을 잃은 지 오래”라면서도 정책 노선은 구체화하지 않았다.

역대 정치권의 신당 창당 역사를 톺아봐도 성공 사례는 많지 않다. 안철수 의원이 총대를 멨던 국민의당, 김종필 전 총리가 중심이 됐던 자유민주연합(자민련) 등 정도다. 호남 민심을 등에 업은 국민의당은 20대 총선에서 호남권 38개 의석을 싹쓸이했고, 자민련은 충청권 지지를 기반으로 15대 총선에서 50석을 차지했다. 그러나 이 두 당마저도 합당과 리더십 부재 등을 겪으며 당세가 기울었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한 민주당 의원은 이날 통화에서 “과거 안철수 신당이 성공했던 건 호남의 지지 기반이 받쳐 줬기 때문이었는데 (현재 거론되는) 두 신당이 호남이든 영남이든 그만한 세력을 확보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여권의 비윤(비윤석열)계와 야권의 비명(비이재명)계가 분화돼 하나의 ‘빅텐트’를 형성하는 게 아니라면 힘들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가현·김주환 기자
2023-06-20 4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