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계 리더들 C20토론회서 제언
세계 문화계 리더들에게 비친 한국과 한국의 문화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10일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C(Culture)20’ 토론회에 참석한 국내외 문화예술계 인사들은 “한국은 역동적이고 에너지가 넘치는 나라지만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데는 아직 수줍은 10대 청소년 같다.”고 입을 모았다.●1세션:한국문화의 커뮤니케이션
그래서 첫 토론 주제도 한국 문화의 독특성을 알리는 방법을 모색하는 ‘커뮤니케이션’이었다.
토론을 주도한 기 소르망은 “한국은 강한 지역 공동체와 개인주의가 조화를 이루고 있고, 이러한 매력이 한국만의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아직도 한국 문화의 여러 매력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한국 문화가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창의성을 개선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 소르망은 “한국은 권위주의적이어서 윗사람의 지시에 따라야 하고 자유롭게 반론을 제기하는 분위기가 잘 조성되지 않아 창의력을 억압받는 젊은이들이 외국에서 창의력을 표현한다.”면서 “정치, 사회, 문화적인 민주화와 함께 여성들의 해방을 통해 창의력을 개발해야 발전할 수 있다.”고 뼈 있는 지적을 했다.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직접적인 방안에 대한 제언도 이어졌다. 인도의 헤먼트 오베로이 타지마할 럭셔리호텔 총주방장은 “음식 등 문화적인 요소를 하나의 주제로 정해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한국을 경험하는 순회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2세션:한국문화의 시각·스타일 요소
영화, 패션 등 ‘한국 문화의 독특한 시각·스타일 요소’를 주제로 열린 두 번째 세션에서는 고유함 속에서 다양한 색깔을 지닌 한국 문화가 국가적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데 참가자들의 의견이 모아졌다. 따라서 좀 더 문화적 자긍심을 가져 달라는 주문이 뒤따랐다.
아르헨티나 건축가 훌리오 오로펠은 “세계는 점점 하나가 돼 가지만 미래에는 각 나라의 전통이 강조되기 때문에 한국은 지금 문화의 고유성을 보호하고 보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음식과 예술을 포함한 한국 문화의 근본적인 특징은 다양한 색깔을 갖고 있다는 점이며 여기에 디자인이라는 요소가 추가돼 엄청난 힘을 발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소니 회장은 “나는 이탈리아에 대해 홍보하는 것이 우리 제품을 홍보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한국은 그동안 눈부신 발전을 이뤘지만 일본과 중국에 가려져 있었다.”고 아쉬워했다. 이제 한국인들도 삼성이나 현대의 제품이 아닌 ‘한국의 제품’임을 자랑스럽게 여겨야 한다는 조언이다.
●3세션:한국 음식의 세계화
세 번째 세션에서는 한국 음식이 주제였다. 참가자들은 “한식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세계의 보석”이라면서 주로 한인 타운을 통해 알려진 일반적인 한국 음식을 넘어 보다 세련되고 다양한 한식으로 세계 시장을 타진할 것을 주문했다.
캐나다의 푸드 칼럼니스트 루시 웨버만은 “한식은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홍보하기 좋은 음식이 충분히 많다.”면서 “반드시 한식 그대로 소개하기보다는 갈비와 김치를 곁들여 햄버거처럼 요리하거나 고추장에 마요네즈를 섞어 햄버거 소스를 만드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제안했다. 특히 한국의 도자기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그는 “도자기가 너무 아름다워 꼭 한국의 제품임이 알려졌으면 한다.”면서 “(그렇게 되면) 도자기에 담긴 한국 음식에도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식의 체계화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한국계 미국인인 요리사 쥬디 주는 “한국 요리책이 형편없는 영어로 번역된 것을 볼 때마다 아쉽고, 같은 음식의 영문 표기도 제각각으로 일관성을 찾기 힘들어 한식의 표준화가 시급하다.”면서 “전통도 중요하지만 음식도 트렌드와 함께 변모하기 때문에 재료를 섞어 가며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인도의 헤먼트 오베로이 총주방장은 “한국 요리사들이 직접 세계로 진출해 한식을 알려야 한다.”고 강조한 뒤 “뿌리를 버리면 잊혀지기 마련인 만큼 음식이 해외로 진출할 때는 요리사가 ‘대사’가 되어 본래의 모습이 유지돼야 하며, 소개된 이후에 현대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0-09-1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