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시진핑 6·25발언’ 비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부주석의 6·25 전쟁에 대한 발언을 두고 마자오쉬(馬朝旭)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중국 정부의 정론(定論)”이라고 전한 것에 대해 정치권에서도 비난이 쏟아졌다.![샤프 사령관, 6·25참전용사 만나 월터 샤프(오른쪽) 한미연합사령관이 29일 아버지인 얼 샤프(당시 중위)가 6·25전쟁때 참전했던 강원도 양구군 가칠봉전망대를 방문, 참전용사 홍현달씨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0/30/SSI_20101030010321.jpg)
월터 샤프(오른쪽) 한미연합사령관이 29일 아버지인 얼 샤프(당시 중위)가 6·25전쟁때 참전했던 강원도 양구군 가칠봉전망대를 방문, 참전용사 홍현달씨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샤프 사령관, 6·25참전용사 만나 월터 샤프(오른쪽) 한미연합사령관이 29일 아버지인 얼 샤프(당시 중위)가 6·25전쟁때 참전했던 강원도 양구군 가칠봉전망대를 방문, 참전용사 홍현달씨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0/30/SSI_20101030010321.jpg)
샤프 사령관, 6·25참전용사 만나
월터 샤프(오른쪽) 한미연합사령관이 29일 아버지인 얼 샤프(당시 중위)가 6·25전쟁때 참전했던 강원도 양구군 가칠봉전망대를 방문, 참전용사 홍현달씨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월터 샤프(오른쪽) 한미연합사령관이 29일 아버지인 얼 샤프(당시 중위)가 6·25전쟁때 참전했던 강원도 양구군 가칠봉전망대를 방문, 참전용사 홍현달씨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나라당 정책위 부의장인 황진하 의원은 29일 오전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중국은 6·25 전쟁에 대한 분명한 인식으로 동북아 평화에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의원은 “국제사회가 모두 알고 있는 것처럼 6·25 전쟁은 발발 직후부터 북한의 남침이 인정돼서 국제연합(UN) 결의를 통해 국제사회가 동참한 전쟁”이라며 시진핑의 발언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동북아뿐 아니라 세계평화를 위해서도 매우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할 중요한 국가인데 이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정론에 대해서는 재판단을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한나라당 간사인 유기준 의원도 “역사인식에 상당히 큰 문제가 있고 발전하는 한·중관계에 악영향을 주는 발언”이라면서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공식적인 대응이나 반박은 자제하려는 분위기다. 한 핵심관계자는 “중국 정부에서 잘못된 내용을 공식적인 입장이라고 밝혀서 곤혹스럽다.”면서도 “하지만 집권 여당에서 공식적으로 반박이나 대응을 할 경우 불필요한 외교적 마찰이 빚어질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도 시진핑의 발언을 놓고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있고, 아직도 양극 냉전시대의 대결논리에 빠져있다.”면서 “중국은 대국주의의 논리로 겸손함을 잃어가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당5역회의에서 “우리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국교 정상화 뒤 수교의 폭을 넓혀오면서 우호적 수교를 위해 전쟁 책임에 대한 거론을 피해왔다.”면서 “그런데 지금에 와서 중국이 6·25 전쟁을 미국의 침략 전쟁으로 규정하고 나서는 이유는 한마디로 주요 2개국(G2)으로 부상한 중국이 이제는 과거의 역사 언급을 자제할 필요를 느끼지 않을 만큼 오만해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중국은 한국과 국교 정상화 후 초기 수교과정에서 보여주었던 겸손한 자세를 되찾기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2010-10-3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