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야 유엔 자문위원
“우리나라가 개최한 세계개발원조총회를 통해 단순 원조에서 수원국의 실질적 개발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신흥공여국들의 참여를 유도한 것은 의미가 큽니다.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바뀐 우리나라가 총회 개최를 계기로 국제사회에서 ‘제대로 잘 주는 나라’로 평가받게 되기를 기대합니다.”![한비야 유엔 자문위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12/01/SSI_20111201180307.jpg)
![한비야 유엔 자문위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12/01/SSI_20111201180307.jpg)
한비야 유엔 자문위원
한씨는 개발원조 관련 시민사회단체 네트워크인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 소속으로 지난달 29일부터 부산 총회를 찾아 시민사회포럼 등 각종 행사에 참가했다. 그는 “재난구호 등 현장 경험에 비춰볼 때 개발원조가 너무 선진공여국 중심이었는데 수원국들의 개발에 실제 어떤 도움이 되고 지속가능한 효과를 낼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 다행스럽다.”며 “원조를 받은 경험이 있는 우리나라가 필요한 것을 주는 것도 잘 알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것을 따뜻하게 두 손으로 주고, 주기로 한 약속을 잘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시민사회단체와 민간 재단 등도 원조주체로 참여하고, 남남(신흥공여국-개도국)협력 등 파트너십이 강화되는 것도 개발효과를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한 뒤 “중국 등 신흥국들이 당장 규범을 지키겠다고 약속하지 않은 점은 아쉽지만 공식 무대로 끌어들인 만큼 함께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8월 유엔 CERF 자문위원이 된 그는 “현장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경험했기 때문에 유엔 등 국제기구와 공여국, 수원국들 간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선진공여국 대열에 최근 합류한 우리나라도 선진국과 중국·인도·브라질 등 신흥공여국, 개도국들을 중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씨는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2005년 ‘파리 선언’에서 약속한 구속성 원조 감축 등을 아직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고, 국내 관련 부처들 간 이견 등으로 원조의 분절성·중복성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하고 “총리실을 중심으로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만큼 국제적 규범에 맞춰 조율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부산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1-12-0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