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의] 회담 정례화로 ‘협력 복원’ 첫 발… 3국 간 50개 협의체 활성화

[한·중·일 정상회의] 회담 정례화로 ‘협력 복원’ 첫 발… 3국 간 50개 협의체 활성화

이지운 기자
입력 2015-11-01 23:28
업데이트 2015-11-02 04: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국 정상회담 의미는

1일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는 3국 정상회의가 복원됐다는 것 자체가 가장 큰 의의로 꼽힌다. 3국 정상은 “2010년 ‘3국 협력 VISION 2020’에서 제시한 ‘역사를 직시하고 미래를 지향하는 정신’이 3국 간 협력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공감했으며, 일본 총리도 역사를 직시하고 미래를 지향하는 정신하에 3국 협력을 추진해 나가야 함을 언급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한 외교 관계자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다음 회의의 의장 자리를 공식적으로 맡김으로써 아베 총리로 하여금 이 모멘텀을 유지해 나가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도록 한 것이 성과”라고 평했다. 3국 간 회담이 정례화·활성화되면, ‘2008년 동반자 관계를 위한 공동성명’이 추진한 3국 간 20여개 장관급 협의체를 포함, 50여개 정부 간 협의체 및 각종 협력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될 수 있다. 3국은 이번에 정부 간 협의체를 신규로 더 늘리기로 했다.

이미지 확대
박근혜 대통령이 1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5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 인사말을 하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나면서 아베 신조(왼쪽) 일본 총리,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에게 목례를 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 대통령이 1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5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 인사말을 하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나면서 아베 신조(왼쪽) 일본 총리,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에게 목례를 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한국으로서는 일본과 중국으로부터 “대화와 협력을 통한 역내 신뢰구축을 목표로 하는 ‘한국의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을 높이 평가하고 환영하는” 지지를 얻어낸 것이 성과다. 지난 9월 중국의 전승절 기념식 참석으로부터 구체화하고 있는 박 대통령의 ‘신외교’가 점진적으로 공간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청와대는 평가하고 있다. 3국 정상들은 “2015년 10월 개최된 제2차 동북아평화협력회의에서 논의된 다양한 협력사업들이 역내 신뢰를 강화함으로써 3국 협력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것을 평가했으며, 관련 고위급 회의를 계속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이날 회의는 2개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첫 번째는 3국 간 문제, 두 번째는 지역 및 국제 정세에 대한 것이었다. 3국 간의 문제에서 중국과 일본 간 역사문제를 두고 신경전이 펼쳐지자, 박근혜 대통령은 의장국으로서 이를 중재·조정하며 회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5-11-02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