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견제 위해 대미보복 능력 과시할 것”
합동참모본부는 10일 “우리 군은 오늘 오전 6시 53분경, 오전 7시 12분경 북한이 평안남도 개천 일대에서 동쪽으로 발사한 미상의 단거리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발사체의 최대 비행거리는 약 330㎞로 탐지됐다.
사진은 지난달 16일 ‘북한판 에이태킴스’로 불리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이 표적을 향해 비행하는 모습.
자료사진 연합뉴스
사진은 지난달 16일 ‘북한판 에이태킴스’로 불리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이 표적을 향해 비행하는 모습.
자료사진 연합뉴스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16일 공개한 ‘2020 국방정책 환경 전망 및 과제’ 보고서는 북한의 군사전망과 관련해 “북미 비핵화 협상 결렬 시 북한은 미국의 군사적 압박을 견제하기 위해 대미 보복 능력을 신뢰성 있게 보여주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게 될 것”이라며 “북한 당국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과 다탄두 ICBM 개발 등을 위한 노력을 보일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군사전문가들은 북한이 다탄두 ICBM을 개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한다. 2017년 발사한 ICBM 화성 15형은 직경이 두껍고 탄두가 둥근 모양을 보여 다탄두를 의도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10월 발사한 신형 SLBM인 ‘북극성 3형’도 다탄두 형상과 유사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런 모습에도 국방부와 합참은 북한의 다탄두 ICBM 개발 가능성을 한 번도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KIDA가 처음으로 북한의 다탄두 ICBM 개발을 전망한 것은 최근 북한의 이 같은 움직임이 활발해졌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탄두 ICBM은 목표지점 상공에 도달하면 탄두부에서 3∼10개의 탄두가 분리돼 목표물로 돌진하는 방식이다. 다탄두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핵 소형화 능력이 필수다. 이미 국방부는 지난 1월 발간한 2018 국방백서에서 “핵무기 소형화 능력이 상당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최근 북한이 거듭 엔진시험을 통해 개발하고 있는 신형 ICBM도 다탄두를 의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클러스터링(결합) 등 엔진시험을 거듭해 발사체 추진력을 높여 여러 개의 탄두를 탑재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9-12-17 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