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미 공군기지 SNS에 영상 올려
ICBM 탄두에 지상 요격미사일로 대응이지스함, 전투기 긴급 출격…위성 등장
![미국 공군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상황을 가정한 홍보 영상을 제작해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2019.12.29 가데나기지 SNS 캡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2/29/SSI_20191229135903_O2.jpg)
![미국 공군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상황을 가정한 홍보 영상을 제작해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2019.12.29 가데나기지 SNS 캡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2/29/SSI_20191229135903.jpg)
미국 공군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상황을 가정한 홍보 영상을 제작해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2019.12.29 가데나기지 SNS 캡쳐
29일 일본 오키나와에 있는 가데나 주일 미 공군기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에 따르면 미 공군은 최근 북한이 ICBM을 발사하는 상황을 가상해 대응하는 장면을 담은 홍보 영상을 제작했다.
지난 26일 가데나기지 SNS에 게시된 이 영상은 1분 분량이다. 북한 평양 북쪽 지역에서 미사일이 발사되는 상황을 가정했다. 레이더 화면에 미사일을 포착한 이지스 구축함이 나타나고, MQ-1 프레데터 무인공격기가 비행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어 북한 지역에서 미사일이 발사된다. 동체에는 북한 전략군이 운용하는 미사일을 뜻하는 ‘ㅈ3631171’이란 숫자가 표기됐다.
이 미사일은 비행하면서 3단으로 분리된다. 이어 일본 열도를 지나 태평양으로 비행하는 궤적이 나타난다. 미군은 북한 미사일에서 탄두가 분리되자 지상 요격미사일로 대응한다. 다만 탄두를 직접 파괴하는 장면은 없다.
![미국 공군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상황을 가정한 홍보 영상을 제작해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2019.12.29 가데나기지 SNS 캡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2/29/SSI_20191229140003_O2.jpg)
![미국 공군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상황을 가정한 홍보 영상을 제작해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2019.12.29 가데나기지 SNS 캡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2/29/SSI_20191229140003.jpg)
미국 공군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상황을 가정한 홍보 영상을 제작해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2019.12.29 가데나기지 SNS 캡쳐
미 공군은 북한이 이달 초 ‘성탄선물’을 언급하며 도발 가능성을 시사하자 한반도와 동해 상공에 각종 정찰기를 띄우면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심지어 25일 민간항공추적 사이트 ‘에어크래프트 스폿’에서는 미 공군의 리벳 조인트(RC-135W), E-8C 조인트 스타즈(J-STARS), RQ-4 글로벌호크, 코브라볼(RC-135S) 등 4대의 정찰기가 동시에 한반도 상공 및 동해 상공에서 대북 감시·정찰비행에 나선 것이 포착됐다.
주일미군의 KC-135R 공중급유기도 이날 주일미군 기지서 연료를 다시 채워 이들 정찰기 지원을 위해 동해 상공으로 출동했다.
앞서 미 전략사령부도 지난 22일 SNS에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트라이던트 2’ 발사와 스텔스 폭격기 B-2, 전략폭격기 B-52 비행 장면 등을 담은 영상을 올린 바 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