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록 국방부 군사편찬硏 선임연구원
김경록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이 13일 서울 용산동 사무실에서 최초 완역본이 발간된 ‘임진기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국방부 제공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을 총지휘했던 우의정 정탁의 ‘임진기록’ 완역을 총괄한 김경록(5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은 1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임진기록의 의미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임진기록에는 충무공 이순신의 장계와 영의정 유성룡의 보고서, 일본군 가토 기요마사가 명나라에 화해를 청하며 보낸 편지 등 조선과 명나라의 고문서가 수록됐으며 국가위기 극복을 위한 조선의 노력이 담겨 있다.
정탁은 임진왜란을 16세기 동아시아 역학관계 속에서 벌어진 명나라 중심의 전쟁으로 바라봤다. 특히 명나라가 전쟁에 소극적 태도로 임하며 일본과의 화친을 조선에 강요한 모습에 주목했다. 김 연구원은 “조선이 전쟁 피해국이면서도 명나라에 의해 객체로 밀려나 주도적 역할을 못할 수밖에 없었던 역학관계를 그린 것”이라며 “임진왜란이 끝난 뒤 조선은 정탁의 우려대로 명나라에 더 예속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했다. 전쟁에 대비하지 못하면 외세에 종속될 수 있다는 교훈을 전하려 했다는 설명이다.
정탁의 주장은 감옥에 갇힌 이순신의 구원을 주장한 ‘이순신 옥사기’에 잘 나타난다. 김 연구원은 “단순히 이순신의 공이 커 구원을 주장한 게 아니다”라며 “정유재란 발발을 감지한 정탁은 명나라가 다시 조선에 개입할 것이 뻔한 상황에서 제대로 된 전쟁을 위해선 이순신이 필요하다는 ‘전쟁방어구상’을 펼친 것”이라고 말했다. 400여년 전 조선의 상황은 6·25 전쟁 이후 한국 정세와도 상당 부분 겹친다. 김 연구원은 “임진왜란처럼 6·25 당시 한국 주도의 군사작전을 하지 못했고, 그 결과 미국 영향력이 커지고 지금도 전시작전통제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스스로 국방력을 키워야 한다는 게 정탁이 주는 교훈이자 현시점에서 갖는 함의”라고 했다.
이어 “전쟁의 주체이자 당사국이면서도 조선은 강화협상에서 배제됐는데 6·25 전쟁 때 우리가 빠진 상태로 미군·유엔군과 북한·중공군이 휴전협상을 한 것과 닮은꼴이고, 두 전쟁 모두 우리 의사와 관계없이 흘러갔다”고 했다. 그러면서 “향후 한반도를 중심으로 군사적 긴장이 조성이 됐을 때 한국이 취해야 할 군사·국방정책, 군사외교의 방향성을 임진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20-01-1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