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폭설에도 휴전선 침투 감지… AI 초소병, 연말 신고합니다

야간·폭설에도 휴전선 침투 감지… AI 초소병, 연말 신고합니다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4-01-09 23:05
업데이트 2024-01-10 06: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일반전방초소(GOP) 관련 사진.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GOP 대원들. 서울신문 DB
일반전방초소(GOP) 관련 사진.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GOP 대원들. 서울신문 DB
#. 밤새 내리는 함박눈 때문에 앞이 잘 보이지도 않는 동부전선 일반전방초소(GOP) 부대. 졸음을 참아 가며 중대 상황실에서 새벽 근무를 하던 강모 일병은 경고음과 함께 감시 카메라에 비친 수상한 움직임에 정신이 번쩍 들었다. 인공지능(AI)이 화면 속 움직이는 물체를 적군이라고 판단한 것을 확인한 강 일병은 즉시 중대장에게 보고했다. 중대장은 현장으로 소대 경계요원들을 출동시켰다.

●軍, 2026년까지 AI 경계시스템 교체

‘AI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동부전선 GOP와 해안부대에 모두 도입되는 내년부터는 이런 장면을 볼 수도 있겠다. 방위사업청이 오는 12월까지 동부전선 GOP 부대에 AI 과학화 경계시스템을 전력화한다고 9일 발표했다. 국방부는 2026년까지 전체 GOP와 해안감시부대에 AI 기반 경계시스템을 적용하고 장기적으로는 AI 드론과 로봇이 경계근무를 하는 유무인 복합체계로 전환할 계획이다.

●열 탐지·적외선 정보 학습해 경보 발령

방사청에 따르면 새로 전력화하는 AI 과학화 경계시스템은 AI가 방대한 영상 정보를 스스로 학습해 사람인지 동물인지를 구분하고 그 정보를 분석해 경보도 발령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열 영상과 단파장 적외선 기능도 추가해 주야간뿐 아니라 악천후에도 더 효율적으로 경계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방사청 관계자는 “예상 침투로 등 관심지역 위주로 설치한 감시 카메라에서 전송하는 영상 정보를 소대와 중대 상황실, 대대 지휘통제실에서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다”면서 “이 가운데 시스템을 통제하고 상황에 대응하는 건 중대에서 맡는다”고 설명했다.

육군이 과학화 경계시스템을 도입하는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6년부터 2009년까지 5사단에서 과학화 경계시스템을 시범 운영했고 2016년까지 전체 GOP에 과학화 경계시스템을 설치했다. 하지만 문제는 고질적인 오작동이었다.

●오작동 줄이고 전방부대 피로도 낮춰

군 관계자는 “현재 방식은 영상 속 화소가 깨지는 걸 감지해 경보가 울리는 방식인데, 바람에 나무가 흔들려도 경보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오작동이 많아 장병들 피로도 때문에 20분 단위로 교대 근무해야 하는 데다 현장 출동도 많이 해야 하니까 인력감축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AI 기술을 적용하면 오작동이 대폭 줄고, 자연스럽게 전방부대 인력 관리에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강국진 기자
2024-01-10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