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조국이 때릴수록 ‘맷집’만 커지는 윤석열

추미애, 조국이 때릴수록 ‘맷집’만 커지는 윤석열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1-03-15 20:21
업데이트 2021-03-15 2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일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지난주보다 4.8%포인트 상승한 37.2% 기록

윤석열 전 검찰총장
윤석열 전 검찰총장 연합뉴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사퇴 이후 추미애,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연일 윤 전 총장을 겨냥해 비판의 날을 세우고 있다.

15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TBS(교통방송) 의뢰로 지난 12~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1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윤 전 총장 지지도는 37.2%로, 지난주 조사보다 4.8%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지난 1월 22일 실시된 KSOI의 여론조사에서 윤 전 총장의 지지율은 14.6%에 불과했지만, 사의 표명 이후 지지율이 급상승하는 모습이다.

총장직 사퇴 후 이른바 ‘컨벤션 효과’(정치 이벤트 직후 지지율 상승 현상)와 더불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들의 땅 투기 사건까지 겹치면서 ‘부패 척결’ 이미지를 가진 윤 전 총장에 대한 주목도가 더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조, 추 전 장관의 공세도 지지율 상승을 부채질하는 효과를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윤 전 총장은 지난해 1월 여론조사 이후 별다른 두각을 내지 못하다가 같은 해 6월 10%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정치권에 등장했다. 이때 당시는 추 전 장관이 수사지휘권을 발동하며 법무-검찰 수장 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리얼미터의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윤 총장은 23.9%를 기록해 이재명 경기지사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을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 당시 약진은 지지율 1위는 ‘정직 2개월’ 징계처분으로 대표되는 ‘추윤 갈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이후 윤 전 총장의 지지율이 올해 들어 빠지기 시작했지만, 윤 전 총장의 사퇴로 지지율이 급등하자 추, 조 전 장관이 윤 전 총장을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추 전 장관은 지난 4일 윤 전 총장이 사퇴 당시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은 부패완판’이라고 한 것을 두고 “나만이 정의롭다는 오만을 버려야 한다”고 비판한 데 이어 지난 11일엔 “윤 전 총장이 LH 사건이 터지자 검찰이 수사하지 않으면 대형 부동산 비리의 진상을 밝힐 수 없는 것처럼 민심을 호도하고 경찰의 수사 의지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부산 해운대 엘시티 특혜분양 의혹을 언급하며 “이영복과 같은 부동산 불패신화를 조장한 세력은 바로 막강한 수사·기소 권한을 가지고도 제대로 수사.기소를 하지 않고 유착한 검찰”이라고 강조했다.

“검찰공화국과 부패공화국은 동전의 양면”이라며 윤 전 총장 측근들의 부산 엘시티 특혜분양 의혹 연루설을 언급하며 “윤석열 패밀리 연루 의혹에 대해 어떤 입장인지 궁금할 따름”이라고 따지기도 했다.

조 전 장관은 2019년 윤 전 총장의 발언을 보도한 기사를 언급하며 “윤 총장이 주위에 ‘대통령에 대한 충심은 그대로고 성공하는 대통령이 되도록 신념을 다 바쳐 일하고 있는데 상황이 이렇다’고 말했다는 보도였다”며 “당시 이러한 윤 총장의 언동을 접하면서 구밀복검(말은 정답게 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다)이라는 옛말이 떠올랐다”고 꼬집었다.

앞서 지난 9일에도 “2019년 하반기 이후 윤석열은 단지 ‘검찰주의자’ 검찰총장이 아니라 ‘미래 권력’이었다. 공무원인 윤 총장은 정치 참여를 부인하지 않았고, 대권 후보 여론조사에서 자신의 이름을 빼달라고 공식 요청하지 않았다”며 “언제나 자신을 대통령과 대척점에 있는 존재로 인식하게 만드는 언동을 계속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두 전 장관이 연일 윤 전 총장을 향한 공세를 이어가는 것을 두고 윤 전 총장을 겨냥함으로써 선거를 앞두고 친문재인계,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하겠다는 전략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