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광역단체장들이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일부 사업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번에 새로 당선된 광역단체장들은 준설토 적치장 허가 불허 등 행정력을 동원한 실질적인 방법으로 4대강 사업 저지에 나서기로 해 ‘중앙권력’과의 충돌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 당선자(민주당)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보여준 4대강 사업 등에 대한 민심은 다른 해석이 필요 없다.”며 이명박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김두관 경남지사 당선자(무소속)는 “생명파괴 사업이자 환경 대재앙인 4대강 사업은 중단돼야 한다.”면서 “도지사로서 가진 인·허가권 등을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정부에 사업 재검토를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시종 충북지사 당선자(민주당) 역시 “소하천, 지천 등의 하천 정비는 필요하지만 보를 막아 운하를 만들거나 배가 다니도록 준설을 하는 것은 반대한다.”고 밝혔다. 강운태 광주시장 당선자(민주당)도 “영산강은 개발보다 수질 개선이 우선”이라며 “보를 막고 준설하는 방식을 고치도록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4대강 사업을 둘러싸고 중앙·지방 정부간 힘겨루기 양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7일 소속 시·도지사 당선자 7명을 참석시켜 관련 워크숍을 여는 한편 조만간 무소속 김두관 당선자까지 참여하는 야권 광역단체장 협의체를 구성, 공동대응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종합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안희정 충남지사 당선자(민주당)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보여준 4대강 사업 등에 대한 민심은 다른 해석이 필요 없다.”며 이명박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김두관 경남지사 당선자(무소속)는 “생명파괴 사업이자 환경 대재앙인 4대강 사업은 중단돼야 한다.”면서 “도지사로서 가진 인·허가권 등을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정부에 사업 재검토를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시종 충북지사 당선자(민주당) 역시 “소하천, 지천 등의 하천 정비는 필요하지만 보를 막아 운하를 만들거나 배가 다니도록 준설을 하는 것은 반대한다.”고 밝혔다. 강운태 광주시장 당선자(민주당)도 “영산강은 개발보다 수질 개선이 우선”이라며 “보를 막고 준설하는 방식을 고치도록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4대강 사업을 둘러싸고 중앙·지방 정부간 힘겨루기 양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7일 소속 시·도지사 당선자 7명을 참석시켜 관련 워크숍을 여는 한편 조만간 무소속 김두관 당선자까지 참여하는 야권 광역단체장 협의체를 구성, 공동대응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종합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0-06-07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