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내는 권력 승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셋째 아들인 김정은이 지난 27일 조선인민군대장 칭호를 받은 데 이어 28일 열린 조선노동당 대표자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위원과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돼 군에 이어 당까지 진출하면서 후계자로서 권력 승계 작업을 본격화할 전망이다.대장 칭호 부여는 선군정치를 강조하고 당 대표자회에 앞서 자격을 부여하기 위한 상징적인 조치였다면, 당 중앙위 위원과 군사위 부위원장으로 뽑힌 것은 당의 공식 직함을 받음으로써 군과 당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서 의미가 크다는 해석이다.정부 소식통은 29일 “장군 칭호에 이어 당의 타이틀을 받음으로써 후계자로서의 활동을 공식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특히 군사위 부위원장 자리에 오른 것은 당 활동을 통해 군에도 영향력을 미쳐 권력 승계 과정에서 업적을 쌓으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김정은이 20대 후반에 군사위 부위원장이 된 것은 그가 내놓을 만한 성과가 없는 상황에서 당과 군에 대한 장악력을 동시에 높이려는 포석으로 보인다. 대북 소식통은 “당초 지난 10일 전후 개최 예정이었던 당 대표자회가 지연될 정도로 김정은의 직책과 공개 여부 등을 둘러싼 이견이 심각했다고 한다.”며 “장성택 등 핵심 측근들이 여론 및 권력 경쟁 등을 고려해 김정은을 정치국 상무위원까지 올리지 않고 군사위 2인자 자리에 앉힌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후계자로서 역할을 하려면 정치국 상무위원과 비서국 비서를 거쳐 당 총비서까지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갈 길이 멀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의 건강 등을 고려할 때 북한이 ‘강성대국의 해’를 열겠다는 목표를 세운 2012년 김정은이 정치국 상무위원 등에 선출되고, 총비서까지 오르는 것도 시간문제라는 분석도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공식 타이틀을 받은 김정은의 권력 승계 과정은 이번 당대표자회 결과에서 나타났듯 속도를 내면서 단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얼마나 빨리 상무위원이나 총비서 자리에 오르느냐는 김 위원장의 건강이 가장 큰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0-09-3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