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판 높이 들며 “여기다 여기야~”

번호판 높이 들며 “여기다 여기야~”

입력 2010-10-30 00:00
업데이트 2010-10-30 18: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 마련된 상봉 행사장은 60년간 헤어져 있던 양쪽 가족들이 만나는 순간 ‘눈물바다’로 변했다.
이미지 확대
처음 보는 아버지 얼굴        (금강산=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 1차 첫날인 30일 오후 금강산면회소에서 북측 최고령 상봉자인 리종렬(가운데)씨가 남측 아들 이민관(오른쪽)씨를 만나고 있다.
처음 보는 아버지 얼굴
(금강산=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 1차 첫날인 30일 오후 금강산면회소에서 북측 최고령 상봉자인 리종렬(가운데)씨가 남측 아들 이민관(오른쪽)씨를 만나고 있다.


 먼저 행사장에 들어가 가족별로 테이블에 앉아 있던 남측 가족들은 오후 3시10분께 북한 노래 ‘반갑습니다’가 울려퍼지면서 북측 상봉신청자들이 들어서자 앞다퉈 꿈에 그리던 혈육의 이름을 부르기 시작했다.

 일부 남측 가족들은 한시라도 빨리 얼굴이 보고 싶은지,테이블에 놓여 있던 번호판을 높이 치켜들고 앞으로 걸어나가기도 했다.

 북측의 최고령로 국군 출신인 리종렬(90)씨는 남측의 아들 민관(61)씨를 만나자 부둥켜안고 “민관아‥ 민관아‥”라고 이름만 부르면서 말을 잇지 못했다.

 생후 100일 무렵 아버지가 국군에 입대하면서 헤어지게 됐다는 민관씨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줄 알았어요.지금껏 제사도 지내왔어요”라고 울부짖으며 리씨를 마주 안은 뒤 “어머니가 얼마나 그리워하셨는데…”라며 눈물을 쏟아냈다.

 조카 민관씨와 함께 형을 만나러 간 리종렬씨의 동생도 “조금만 일찍 만났으면 어머니도 뵐 수 있었을 텐데…”라며 아쉬움에 말끝을 흐렸다.

 남북을 통틀어 최고령인 남측의 김례정(96) 할머니는 휠체어에 앉아 있다가 딸 우정혜(71)씨가 다가오자 “꿈에만 보던 너를…”이라며 딸의 얼굴을 어루만졌다.
이미지 확대
제가 밀어 드릴께요!        (금강산=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 1차 첫날인 30일 오후 금강산면회소에서 북측 우정혜씨가 남측 최고령 상봉자인 어머니 김례정씨의 휠체어를 밀어 드리고 있다.
제가 밀어 드릴께요!
(금강산=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 1차 첫날인 30일 오후 금강산면회소에서 북측 우정혜씨가 남측 최고령 상봉자인 어머니 김례정씨의 휠체어를 밀어 드리고 있다.


 북측의 윤태영(79)씨는 상기씨 등 남측 동생 4명이 가져온 부모님 영정 앞에 순간적으로 할 말을 잊은 듯 멍하게 서 있었으나,잠시 후 “나 죽은 줄 알았지?”라며 농담을 건네 가족들을 환하게 웃게 했다.

 치매 증상이 조금 있는 권재희(91)씨는 북측의 남동생 준희씨가 나타나자 그래도 옛 모습이 떠오르는지 휠체어에 앉은 채 눈물을 글썽였다.

 남측의 언니 김선아(80)씨를 만난 김월화(77)씨는 “내가 살아있고 언니도 살아 있다니 아직도 믿기지 않고 꿈만 같다”라며 마냥 웃음을 지었다.

 북측의 막내오빠 김현군(75)씨와 상봉한 김옥자 씨는 “부모님과 다른 오빠들이 모두 막내오빠 살아있는지도 모르고 상심하다 돌아가셨다”면서 통곡했고,현군씨는 “그래도 네가 살아 있어 이렇게 만나지 않았냐”며 동생을 달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