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중국 양국 간 경제협력의 핵심통로로 부상 중인 북한 함경북도 원정리~나진항 구간 포장도로가 최근 개통됐으며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에도 원활히 소통되고 있다는 증언이 나왔다.
중국 지린성 옌지(延吉)시에서 대북사업을 하는 중국인 H씨는 23일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원정리~나진항 구간의 2차선 포장도로가 70%가량만 완공됐으나 최근 차량통행을 허용하면서 물자교류가 활발하다면서 이는 북한이 북·중경협을 그만큼 중시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말했다. 그는 김 전 위원장 사망 발표 후 이틀간 도로로 진입하는 훈춘시 취안허(圈河) 통상구가 폐쇄됐으나 지난 21일부터 다시 개통돼 차량이 통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의 대북 교역 거점인 취안허 통상구의 두만강 대교에서 원정리를 거쳐 나진항까지 53㎞의 2차선 도로를 포장하는 이번 공사는 지난 4월 착공돼 이달 완공할 방침이었으나 길이 험하고 너무 구불구불해 공사진행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나진항이 본격 가동되면 연간 100만t의 석탄을 남방으로 운송할 수 있어 기존의 철도 수송에 비해 연간 6000만 위안(약 100억원)의 물류비를 절감할 것으로 예상했다.
옌지 연합뉴스
중국 지린성 옌지(延吉)시에서 대북사업을 하는 중국인 H씨는 23일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원정리~나진항 구간의 2차선 포장도로가 70%가량만 완공됐으나 최근 차량통행을 허용하면서 물자교류가 활발하다면서 이는 북한이 북·중경협을 그만큼 중시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말했다. 그는 김 전 위원장 사망 발표 후 이틀간 도로로 진입하는 훈춘시 취안허(圈河) 통상구가 폐쇄됐으나 지난 21일부터 다시 개통돼 차량이 통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의 대북 교역 거점인 취안허 통상구의 두만강 대교에서 원정리를 거쳐 나진항까지 53㎞의 2차선 도로를 포장하는 이번 공사는 지난 4월 착공돼 이달 완공할 방침이었으나 길이 험하고 너무 구불구불해 공사진행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나진항이 본격 가동되면 연간 100만t의 석탄을 남방으로 운송할 수 있어 기존의 철도 수송에 비해 연간 6000만 위안(약 100억원)의 물류비를 절감할 것으로 예상했다.
옌지 연합뉴스
2011-12-2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