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서열 3위와 만나는 김정은 위원장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일 응우옌 티 낌 응언 국회의장을 면담하고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2일 보도했다. 2019.3.2 연합뉴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9시 34분쯤 숙소인 하노이 멜리아호텔에서 나와 전용차를 타고 이동, 9시 40분쯤 바딘광장에 도착했다. 김 위원장은 리수용·김평해·오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김여정·김성남 노동당 제1부부장, 리용호 외무상, 최선희 외무성 부상 등 수행 간부들과 함께 호찌민 전 베트남 국가주석 묘소에 헌화한 뒤 오전 10시를 조금 넘겨 전용차로 중국 접경지역인 랑선성 동당역으로 이동했다.
이후 김 위원장은 베트남 입성 때와 마찬가지로 동당역에서 전용열차에 탑승해 베트남 하노이를 떠나 귀국 열차에 몸을 싣는다.
김 위원장의 이번 베트남 행보는 전용열차를 이용해 평양에서 출발하는 등 이례적인 ‘장기 출장’이었다. 그는 지난달 23일 전용열차를 타고 평양을 떠나 중국을 관통해 3박 4일간 3800km, 66시간 가까이를 달려 베트남 하노이에 입성했다. 김 위원장의 베트남행은 국제적으로 대대적인 관심과 체제 안정 및 중국의 지원 홍보 등 당초 의도했던 바를 모두 얻을 수 있었던 성공적인 전략이었다. 때문에 ‘하노이 선언’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다.
북한 매체도 김 위원장의 베트남행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는 등 ‘비핵화’ 담판을 위해 결단을 내리는 듯한 인식을 심어주었지만 김 위원장으로서는 결국 ‘모양새’가 빠진 귀국길이 된 모습이다.
특히 장기간 평양을 떠나있었음에도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한 김 위원장의 고심은 평양으로 향하는 열차 안에서 점점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으로부터 제재 해제를 받아냄으로써 경제 건설에 발판을 만들 것이라는 자국 엘리트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은 향후 대응방안에 대해 깊은 고민에 빠질 전망이다.
또 앞으로는 미국이 요구했던 ‘영변 이외 우라늄 농축시설’에 대해서도 다시 미국 측과 협상을 이어나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 부상이 김 위원장이 언급한 ‘새로운 길’을 재차 언급함으로써 향후 북한이 어떤 노선을 택할지도 주목되고 있다.
김 위원장이 귀국에 나섬에 따라 중국에 들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 결과를 공유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과 중국이 지난 1월 ‘전략적 소통관계’를 약속한 만큼 향후 공동대응을 위한 논의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이번 정상회담에서 ‘빈손’으로 돌아갈 김 위원장이 이번에는 시진핑 주석을 만나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은 “김 위원장이 마음이 불편한 상태에서 시진핑 주석을 만날 가능성보다는 광저우에서 비행기를 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시진핑 주석 입장에서도 이 문제에 너무 깊숙이 개입하는 모습을 보이면 안 된다는 생각과 ‘차이나 패싱’이 있으면 안 된다는 생각이 교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