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저는 북한이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지 않길 바란다”면서 4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도발을 강하게 비판했다. 북한은 한·미 정상회담이 끝난 지 불과 나흘만에 미사일 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데이비드 캐머런 전 영국 총리를 접견한 자리에서 “북한이 오늘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에 기반한 한반도 평화구상에 호응하지 않고 있다”면서 “북한이 레드라인을 넘을 경우 한·미가 어떻게 대응할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이날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문 대통령의 ‘레드라인’의 의미가 북한의 ICBM 발사와 관련이 있느냐는 질문에 윤 수석은 “관련이 없다고 할 수 없다”면서 “북한이 한·미 정상이 합의한 평화적 방식의 해결, 대화라는 부분에 대해 계속 도발로 맞선다면 한·미 양국도 더욱 강력한 제재를 가할 수밖에 없다는 취지로 보시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소식을 보고받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문 대통령이 NSC 전체회의를 주재한 것은 지난달 8일에 이은 두 번째다.
한·미 정상회담이 열린 뒤에 양국 정부가 발표한 공동성명문에는 ‘한국과 미국이 대북 적대시 정책을 갖고 있지 않으며, 북한이 올바른 길을 선택한다면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에 보다 밝은 미래를 제공할 준비가 돼 있음을 강조했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북한은 또다시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문 대통령, 캐머런 전 영국 총리와 인사
문재인(오른쪽) 대통령이 4일 오후 청와대에서 데이비드 캐머런 전 영국 총리를 만나 악수하고 있다. 2017.7.4 연합뉴스
문 대통령의 ‘레드라인’의 의미가 북한의 ICBM 발사와 관련이 있느냐는 질문에 윤 수석은 “관련이 없다고 할 수 없다”면서 “북한이 한·미 정상이 합의한 평화적 방식의 해결, 대화라는 부분에 대해 계속 도발로 맞선다면 한·미 양국도 더욱 강력한 제재를 가할 수밖에 없다는 취지로 보시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소식을 보고받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문 대통령이 NSC 전체회의를 주재한 것은 지난달 8일에 이은 두 번째다.
한·미 정상회담이 열린 뒤에 양국 정부가 발표한 공동성명문에는 ‘한국과 미국이 대북 적대시 정책을 갖고 있지 않으며, 북한이 올바른 길을 선택한다면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에 보다 밝은 미래를 제공할 준비가 돼 있음을 강조했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북한은 또다시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