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 “尹 대통령·한동훈이 변화 이끌 것···전두환·노태우처럼”

윤상현 “尹 대통령·한동훈이 변화 이끌 것···전두환·노태우처럼”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12-21 10:07
수정 2023-12-21 10: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5월 정부세종청사에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 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5월 정부세종청사에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 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과거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예를 들며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도 신뢰 관계에 기반해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 장관이 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되면 윤 대통령과의 관계를 잘 활용해 의미있는 성과를 낼 수 있다는 판단이다.

윤 의원은 20일 CBS 라디오에서 “(당내 최우선 과제로 거론되는) 수직적 당정관계 (극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 입장에서 가장 신뢰하는 사람은 한동훈 장관이다. 깊은 신뢰와 공동운명체 의식이 있기에 수직적 당정관계 문제 역시 뭔가 돌파구를 열 수 있다”라고 예상했다.

윤 의원은 “노태우 대통령이 (1987년) 6·29 (민주화) 선언을 할 때 전두환 당시 대통령은 의원내각제를 고집하고 있었다. (의원내각제가 아닌) 직선제로 하자는 것이 대통령의 (입장에선) 항명으로 들렸을 것 아니냐”라며 “그럼에도 두 분이 서로에 대한 신뢰가 있고 운명공동체 의식이 있었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조율해서 국민의 뜻인 대통령 직선제를 받아들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1987년 민주정의당 대통령 후보 지명대회에서 선출된 노태우(왼쪽) 당시 후보지명자와 전두환 대통령. 서울신문 DB
1987년 민주정의당 대통령 후보 지명대회에서 선출된 노태우(왼쪽) 당시 후보지명자와 전두환 대통령. 서울신문 DB
6·29는 1987년 6월 29일 민주정의당 대통령 후보인 노태우 대표위원이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 여론을 수용해 발표한 선언이다. 그때까지만 해도 대통령은 간접 선거제로 선출돼 ‘군부 정권 연장에 악용되고 있다’고 비판 받았다.

당시 전두환 대통령이 4·13 호헌조치(현행 헌법을 지키겠다는 방침)를 발표하자 민주화 운동이 거세졌다. 결국 노태우의 민주화 선언 이후 판도가 바뀌었다. 노태우는 1987년 12월 첫 대통령 직선제 선거에서 당선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