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4일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오는 11월 11일 서울에서 개막할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도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일단 G20회의가 70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주무장관이 바뀔 경우 행사 준비에 아무래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청와대는 지난 ‘8.8개각’ 당시 유 장관의 유임 배경으로 G20정상회의 업무의 지속성을 꼽은 바 있고,이번에 사의를 수용하면서도 이런 점을 어느 정도 고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 장관이 대외적으로 외교활동을 책임지는 수장으로서 상징성이 크고 한국이 G20정상회의 회원국들과 우호적인 외교관계를 형성해오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당장 유 장관은 이명박 대통령이 오는 9∼11일 러시아를 방문해 정상회담을 갖는데 동행할 예정이었지만 참석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최근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의 낙마로 각료 임명 제청권을 가진 총리가 공석이 되면서 ‘외교장관 공백’ 상태가 오래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와 관련,외교부 관계자는 “유 장관의 후임자 임명이 늦어질 경우 제1차관이 장관 업무를 대행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유 장관이 그동안 G20정상회의 회원국들에 나가있는 대사들을 통해 관련행사를 측면에서 지원해왔는데 혼선이 빚어질 가능성도 있다.
다만 유 장관의 사의 표명이 G20정상회의를 실무적으로 준비하는데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대통령 직속 G20정상회의준비위원회(위원장 사공일)가 독자적으로 행사를 준비해왔기 때문이다.
과거 외교장관이 기획했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나 일반적인 정상회의와 달리 G20정상회의준비위원회가 의전을 포함한 실무를 모두 책임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회원국들의 재무장관 회의가 G20정상회의 개막 전까지 진행되지만 외교장관 주관회의는 예정돼 있지 않다는 게 G20정상회의준비위원회의 설명이다.
G20정상회의준비위 관계자는 “우리 조직이 독자적으로 G20정상회의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교장관 사의에 큰 타격을 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일단 G20회의가 70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주무장관이 바뀔 경우 행사 준비에 아무래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청와대는 지난 ‘8.8개각’ 당시 유 장관의 유임 배경으로 G20정상회의 업무의 지속성을 꼽은 바 있고,이번에 사의를 수용하면서도 이런 점을 어느 정도 고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 장관이 대외적으로 외교활동을 책임지는 수장으로서 상징성이 크고 한국이 G20정상회의 회원국들과 우호적인 외교관계를 형성해오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당장 유 장관은 이명박 대통령이 오는 9∼11일 러시아를 방문해 정상회담을 갖는데 동행할 예정이었지만 참석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최근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의 낙마로 각료 임명 제청권을 가진 총리가 공석이 되면서 ‘외교장관 공백’ 상태가 오래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와 관련,외교부 관계자는 “유 장관의 후임자 임명이 늦어질 경우 제1차관이 장관 업무를 대행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유 장관이 그동안 G20정상회의 회원국들에 나가있는 대사들을 통해 관련행사를 측면에서 지원해왔는데 혼선이 빚어질 가능성도 있다.
다만 유 장관의 사의 표명이 G20정상회의를 실무적으로 준비하는데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대통령 직속 G20정상회의준비위원회(위원장 사공일)가 독자적으로 행사를 준비해왔기 때문이다.
과거 외교장관이 기획했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나 일반적인 정상회의와 달리 G20정상회의준비위원회가 의전을 포함한 실무를 모두 책임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회원국들의 재무장관 회의가 G20정상회의 개막 전까지 진행되지만 외교장관 주관회의는 예정돼 있지 않다는 게 G20정상회의준비위원회의 설명이다.
G20정상회의준비위 관계자는 “우리 조직이 독자적으로 G20정상회의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외교장관 사의에 큰 타격을 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