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2일 추가 협의에 들어간 한미FTA(자유무역협정) 문제와 관련,”발표만을 위한 한미FTA 합의에는 관심이 없다“면서 ”미국의 일자리 창출과 수출 증진에 기여하는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코엑스에서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폐막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과 한국은 양국의 기업 및 노동자를 위해 ‘윈-윈’이 되는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한미FTA의 쟁점에 언급,”쇠고기도 우려사항(concern)이기는 하지만 사실 자동차가 더 큰 우려사항(a larger concern)“이라며 ”우려사항이란 진짜로 단순한 것으로,미국에는 40만대의 한국산 자동차가 들어오지만,한국에는 (미국 자동차) 수천대가 수입되는 게 고작“이라고 지적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많은 (미국) 사람이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한국의 비관세장벽이 좋은 품질을 갖추고도 경쟁을 할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은 아닌지 걱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오바마 대통령은 균형잡힌 합의를 도출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하면서,미국과 한국이 이 문제에 있어서 ‘스위트 스폿(문제해결을 위한 핵심적인 부분)’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어 ”다만 문제는 과연 ‘우리를 위한 합의가 마련돼 있느냐’는 것인데 그것은 내가 챙겨야 할 제1의 책무이며,한국의 노동자들에게도 ‘윈 윈’이 되게 할 수 있느냐는 것은 이명박 대통령의 책무“라며 ”그래서 우리는 시간을 더 갖고 이 문제를 논의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이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전날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미FTA 추가협의에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빠른 시간내에 타결하기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의견을 모은 바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중국 위안화 문제와 관련,”중국은 위안화의 저평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돈을 쏟아부으며 시장에 개입하고 있다“면서 수출에 지나치게 의존해 많은 무역흑자를 내는 국가들은 자국 환율에 경제현실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중국 측의 성의있는 위안화 절상노력을 거듭 촉구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은 중국 정부가 궁극적으로 시장지향적 환율체제로 이행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6천억달러 규모의 양적완화 조치를 취한 데 대한 중국 등의 비판론에 대해서는 달러약세를 이끌어내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더딘 경기회복을 진작시키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중간선거 패배로 인해 국제무대에서 자신의 위상이 약화된 게 아니냐는 질문에는 ”세계 지도자,특히 아시아의 지도자들은 경제,안보 문제와 관련해 함께 일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한국이 이번 G20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며 축하의 뜻도 표시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