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과 동떨어진 보상체계 ‘좌절’어르신 약 처방 등 맞춤 대책 필요고용유지금은 수당 3분의2만 지원‘재건’ 원하는 현장에선 항의 빗발영남을 집어삼킨 산불 현장으로 달려간 이들은 소방관만이 아니었다. 각 부처에서 파견된 공무원들은 이재민 대피소를 돌면서 옷과 약, 가축과 농기계, 수산물까지 재난이 휩쓸고 간 삶의
의대생의 수업 참여율이 평균 25.9%에 불과한데도 교육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린 17일, 보건복지부는 망연자실했습니다.지난해 2월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방침을 내걸고 지역·필수의료 붕괴를 막기 위한 의료개혁의 닻을 올렸지만, 의료계의 완강한 저항에 밀려 결국 백기를 든
남성 ‘경제’·여성 ‘삶 궤도’ 중요상대에 남녀 전통적 역할 기대개인 가치관은 중시… 이중잣대결혼을 꺼리는 이유가 성별에 따라 선명하게 갈렸다. 남성은 팍팍한 주머니 사정을, 여성은 가부장적 가족문화 편입과 커리어 단절로 잃게 될 미래를 걱정했다. 14일 인구보건복지협회가 발표한 ‘제2차 국민 인구행태 조사’에선
지난해 12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서며 한국은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현재의 ‘65세’ 노인 연령 기준을 그대로 유지할 경우, 급증하는 노인 인구와 함께 복지 재정 부담도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어 이제는 노인의 정의를 다시 써야 할 시점에 놓였다. 다만 전문가들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깜깜이’로 불려온 비급여 진료 항목의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비급여 정보 포털’(https://www.nhis.or.kr/nbinfo/index.do)이 11일 문을 열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합리적인 의료 선택을 돕고자 비급여 항목별 가격 정보는 물론 주요 항목의 안전성·효과
지난해 한국 보건산업 수출이 1년 전보다 15.8% 증가한 252억6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달성했다. 의약품과 화장품 부문은 각각 92억7000만 달러, 101억8000만 달러로 최대 수출액을 기록하며 호조를 이끌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1일 ‘2024년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
인구정책 대응 절실한데 ‘난감’‘5차 계획’ 심층 연구 엄두 못 내고임신·출산 정책 홍보 캠페인 스톱전문가 “추경 등 예산 확보 시급”복지부 예산 전용… 이마저 모자라정책 동력 유지해야 출산율 늘 것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5명으로 9년 만에 반등했지만, 인구정책의 컨트롤타워를 맡을 인구전략기획부(인구부) 출범은
대형병원들이 전공의 없는 ‘뉴노멀’에 맞춰 중증·응급·희귀질환 중심으로 병원 기능을 재편하면서 진료량이 예년 수준을 회복하고 있다.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던 대형병원들이 경영 전략을 수정해 살길을 찾아낸 것이다. 전공의들의 빈 자리는 5000명의 진료 전담(PA)간호사가 메우고 있다. 전공의들이
냉장고와 소파, 개인용 텃밭과 전용 주차장까지. 학생들의 교육비로 쓰여야 할 교비로 학교 건물에 살림집을 차린 학교법인 이사장이 적발됐다.국민권익위원회는 강원도 소재 한 학교법인의 전임 이사장 A씨가 교비를 사적으로 유용하고 리베이트를 수수한 정황이 확인돼 사건을 감독기관과 대검찰청에 이첩했다고 9일 밝혔다. A
귀갓길 계단에서 쓰러져 의식을 잃은 50대 가장이 뇌사 장기 기증으로 6명의 생명을 살리고 세상을 떠났다.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지난해 12월 15일 가천대 길병원에서 반종학(57)씨가 심장과 폐·간·신장·좌우 안구 등 주요 장기와 뼈를 비롯한 인체 조직을 기증한 뒤 숨졌다고 7일 밝혔다. 그의 장기와 조직은 6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