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논문 ‘질보다 양’

과학논문 ‘질보다 양’

입력 2010-02-05 00:00
업데이트 2010-02-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순위지수’ 세계 평균 이하 , 2008년 발표수 30%증가

국내에서 발표되는 과학기술분야 과학인용색인(SCI)급 논문의 질적 수준이 미국·영국·독일·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물론 타이완에도 크게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의 질적 지표 중 하나인 ‘상대적 순위보정지수(mrnIF)’는 세계 평균에도 미치지 못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4일 발표한 ‘200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지원한 연구개발사업에 제출된 논문의 순위보정지수가 2006년 0.943, 2007년 0.941, 2008년 0.935로 매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가 전체 순위보정지수는 0.924로 세계 평균 수준인 1.0에 크게 못 미쳤다.

이에 비해 미국(1.07), 영국(1.04), 독일(1.02)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앞섰다. 일본(0.947)과 타이완(0.966)도 평균에는 약간 못 미쳤지만 우리보다 논문의 질적 수준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순위보정지수란 학술지 영향력지수(IF·Impact Factor)에서 분야 간 특수성을 고려해 편차를 보정한 지표로, 논문의 질적 수준을 가늠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지표는 지수 1.0을 세계 평균 수준으로 간주한다.

이와 달리 발표된 논문의 수는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가 2008년에 발표한 SCI 논문은 모두 3만 5569편으로 전년도의 2만 7284편보다 무려 30.4%나 증가했다. 세계 12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0-02-05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