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도 거센 女風

외고도 거센 女風

입력 2010-02-16 00:00
수정 2010-02-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학생 6년째 60%대… 내신 등 유리해 심화될 듯

“외국어로 상황극을 하는 수업을 할 때가 있거든요. 아무래도 남학생이 부족하니까 여학생이 남자 역할을 맡는 일이 많죠.”

외국어고 입시에서 ‘여풍(女風)’이 거세다. 서울 지역 외고에서 1990년대 초·중반부터 여학생 비율이 50%를 넘기 시작하더니, 2005학년도 입시에서부터 그 비율은 60%를 넘어섰다.

2006학년도 서울 지역 외고 신입생 가운데 65%가 여학생으로 정점을 찍더니, 이후로도 여학생 비율은 63%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외고에 특히 여학생들이 몰리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전문가들은 우선 외고의 교과과정이 여학생들에게 유리하다는 점을 꼽았다. 일반적으로 여학생이 어학에 재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는 속설과 실증적인 연구 결과가 반영된 결과라는 뜻이다.

실제로 외고처럼 어학에 특화된 교과과정을 갖고 있는 국제고 입시에서도 여학생이 강세를 보였다. 2008학년도 입시에서 서울국제고에서는 153명 가운데 107명(69.9%), 인천국제고에서는 126명 가운데 88명(69.8%), 부산국제고에서는 160명 가운데 114명(71.3%)이 여학생이었다. 외고 입시가 여학생에게 유리한 측면도 있다. 어학과 중학교 내신을 위주로 하기 때문이다.

2010학년도 외고 입시가 ‘자기주도 학습능력 전형’으로 바뀌면서 중학교 내신 비중이 더 중요해지고, 일반적으로 여학생들에게 더 유리한 면접이 활성화될 것으로 점쳐져 외고의 여학생 비율이 더 높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고교가 특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여학생들이 누릴 수 있는 ‘선택의 기회’가 남학생에 비해 빈약한 것도 외고에 여학생을 늘렸다.

홍희경 이영준기자 saloo@seoul.co.kr
2010-02-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