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 서울분관 전면 발굴키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분관 전면 발굴키로

입력 2010-06-18 00:00
수정 2010-06-18 16: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발굴지도위 “철저히 조사해야” 의견

종친부를 비롯한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 있던 옛 기무사 부지가 사실상 전면 발굴될 것으로 보인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분관으로 활용될 옛 기무사 터를 발굴 중인 한강문화재연구원 발굴지도위원회가 그동안의 조사 성과를 중간보고하기 위해 18일 현장에서 개최한 설명회에서 지도위원들은 “현재 발굴 중인 구역과 그 외 부지에 대해서도 철저히 발굴조사를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지도위는 “종친부 기단을 비롯해 현재까지 노출된 유적은 조선후기에 만든 것이며 그 아래에 있을 조선 중기나 전기 문화층은 전혀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생토(맨땅)층이 나올 때까지 철저히 조사하며 다른 (서울분관 내) 구역에 대한 발굴조사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도위의 이런 의견은 다른 지도위 전례로 볼 때 이변이 없는 한 문화재위원회와 문화재청에서 그대로 채택할 가능성이 커 애초 2012년으로 예고한 서울분관 개관 계획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지도위원 중 한 명인 한영우 서울대 명예교수(조선사 전공)는 “원래 이곳에 있던 조선후기 때 종친부는 단순히 왕실 가족을 관장하던 곳이 아니라,규장각 도서까지 관리하던 왕조 정치의 핵심 중 한 곳이었다”면서 “이런 역사성이 깊은 곳을 재활용하고자 할 때는 철저한 발굴조사와 이를 바탕으로 하는 세심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지도위원이자 문화재위원인 지건길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오늘은 발굴조사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만 (지도위에서) 논의했다”며 “따라서 발굴된 유적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 등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은 발굴조사가 완료된 다음에 문화재위에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이날 지도위에서는 발굴조사를 한강문화재연구원에 의뢰한 국립현대미술관 측이 발굴 설명회장 출입을 통제하는가 하면 공개가 원칙인 지도위 회의에 취재진과 문화유산 시민단체 관계자 출입을 원천 봉쇄해 빈축을 사기도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