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차가 자가면역질환의 하나인 류머티스관절염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조지타운 대학 메디컬센터의 크리스토퍼 콜린스(Christopher Collins) 박사는 50-79세의 미국여성 7만6천6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분석 결과 홍차를 하루 4잔 이상 마시는 여성은 전혀 마시지 않는 여성에 비해 류머티스관절염 발병률이 평균 7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것으로 영국의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8일 보도했다.
홍차는 하루 마시는 양에 관계 없이 전체적으로 류머티스관절염 위험을 40%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콜린스 박사는 이것이 홍차 속의 어떤 성분 때문인지 아니면 홍차를 만드는 과정과 연관이 있는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결과가 너무나 놀랍다고 말했다.
홍차가 류머티스관절염과 연관이 있는 건 확실하지만 홍차를 마셔서 류머티스관절염이 나타날 절대적인 가능성 자체는 매우 낮다고 그는 덧붙였다.
커피는 종류에 관계 없이 류머티스관절염 위험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리즈 대학 분자의학연구소 류머티스질환 전문의 폴 에머리(Paul Emery) 박사는 이 결과가 확인되려면 연구가 더 필요하다면서 홍차를 좋아하는 사람은 굳이 홍차를 끊을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다만 류머티스 질환이 있는 사람이 홍차를 마시고 있다면 주치의와 상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면역체계가 손,손목,손가락 등 비교적 작은 관절을 외부조직으로 오인,공격함으로써 발생하는 류머티스관절염은 아직까지 완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통증과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이다.
이 연구결과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리고 있는 유럽류머티스학회(European League Against Rheumatism) 연례회의에서 발표되었다.
연합뉴스
미국 조지타운 대학 메디컬센터의 크리스토퍼 콜린스(Christopher Collins) 박사는 50-79세의 미국여성 7만6천6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분석 결과 홍차를 하루 4잔 이상 마시는 여성은 전혀 마시지 않는 여성에 비해 류머티스관절염 발병률이 평균 7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것으로 영국의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8일 보도했다.
홍차는 하루 마시는 양에 관계 없이 전체적으로 류머티스관절염 위험을 40%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콜린스 박사는 이것이 홍차 속의 어떤 성분 때문인지 아니면 홍차를 만드는 과정과 연관이 있는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결과가 너무나 놀랍다고 말했다.
홍차가 류머티스관절염과 연관이 있는 건 확실하지만 홍차를 마셔서 류머티스관절염이 나타날 절대적인 가능성 자체는 매우 낮다고 그는 덧붙였다.
커피는 종류에 관계 없이 류머티스관절염 위험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리즈 대학 분자의학연구소 류머티스질환 전문의 폴 에머리(Paul Emery) 박사는 이 결과가 확인되려면 연구가 더 필요하다면서 홍차를 좋아하는 사람은 굳이 홍차를 끊을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다만 류머티스 질환이 있는 사람이 홍차를 마시고 있다면 주치의와 상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면역체계가 손,손목,손가락 등 비교적 작은 관절을 외부조직으로 오인,공격함으로써 발생하는 류머티스관절염은 아직까지 완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통증과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이다.
이 연구결과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리고 있는 유럽류머티스학회(European League Against Rheumatism) 연례회의에서 발표되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