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10명 중 4명 가까이는 교수에게 학점을 더 올려줄 것을 부탁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가 대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학기 종료 후 이미 받은 학점을 더 높여달라고 교수에게 부탁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38.0%를 차지했다.
이들이 주로 이메일(42.0%)을 통해 부탁했으며, 직접 교수를 찾아가거나(32.5%) 전화(20.1%)로 학점을 높여달라고 요청했다. 이들 가운데는 학점을 높이기 위해 교수에게 선물을 하거나 식사를 대접하는 등 ‘로비’를 해본 적이 있다고 대답한 학생도 14.8%나 됐다.
조사결과 수강신청 때 과목을 선택하는 기준으로도 ‘학점을 잘 주는 과목’(34.4%)이 1위를 차지했다. 높은 학점을 받아야 취업에 유리할 것이라는 학생들의 생각이 반영된 결과이다. ‘재미있는 과목’(29.7%)이 2위를 차지했고, ‘취업에 도움을 주는 과목’(26.1%)이 뒤를 이었다.
대학생들은 취업을 할 때 안정권으로 생각하는 학점으로 4.5점 만점에 ‘3.5점 이상’(55.5%)을 가장 많이 꼽았다. ‘4.0점 이상’ 이라고 답한 학생도 22.7%나 차지했다. 반면 ‘3.0점 이상’(15.1%)이나 ‘3.0점 미만도 큰 상관이 없다’(6.7%)는 대답은 소수에 그쳤다.
하지만 학점이 채용조건으로 활용되는 것에는 ‘부정적’(53.0%)이라고 답한 학생이 ‘긍정적’(47.0%)이라고 답한 학생보다 많았다.
그 이유로는 ‘학점과 회사의 업무수행이 큰 관련이 없기 때문’(45.8%)이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학점은 취업을 위한 수단에 불과할 뿐 실제 회사생활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의견이다. ‘학교마다 학점을 주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20.8%)처럼 형평성을 지적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또 ‘학점인플레로 너도나도 높은 학점을 받기 때문’(18.2%) ‘학점보다 업무수행에 도움을 주는 다른 요인들이 많기 때문’(8.9%) 등의 답변들도 있었다.
인터넷서울신문 맹수열기자 guns@seoul.co.kr
17일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가 대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학기 종료 후 이미 받은 학점을 더 높여달라고 교수에게 부탁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38.0%를 차지했다.
이들이 주로 이메일(42.0%)을 통해 부탁했으며, 직접 교수를 찾아가거나(32.5%) 전화(20.1%)로 학점을 높여달라고 요청했다. 이들 가운데는 학점을 높이기 위해 교수에게 선물을 하거나 식사를 대접하는 등 ‘로비’를 해본 적이 있다고 대답한 학생도 14.8%나 됐다.
조사결과 수강신청 때 과목을 선택하는 기준으로도 ‘학점을 잘 주는 과목’(34.4%)이 1위를 차지했다. 높은 학점을 받아야 취업에 유리할 것이라는 학생들의 생각이 반영된 결과이다. ‘재미있는 과목’(29.7%)이 2위를 차지했고, ‘취업에 도움을 주는 과목’(26.1%)이 뒤를 이었다.
대학생들은 취업을 할 때 안정권으로 생각하는 학점으로 4.5점 만점에 ‘3.5점 이상’(55.5%)을 가장 많이 꼽았다. ‘4.0점 이상’ 이라고 답한 학생도 22.7%나 차지했다. 반면 ‘3.0점 이상’(15.1%)이나 ‘3.0점 미만도 큰 상관이 없다’(6.7%)는 대답은 소수에 그쳤다.
하지만 학점이 채용조건으로 활용되는 것에는 ‘부정적’(53.0%)이라고 답한 학생이 ‘긍정적’(47.0%)이라고 답한 학생보다 많았다.
그 이유로는 ‘학점과 회사의 업무수행이 큰 관련이 없기 때문’(45.8%)이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학점은 취업을 위한 수단에 불과할 뿐 실제 회사생활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의견이다. ‘학교마다 학점을 주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20.8%)처럼 형평성을 지적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또 ‘학점인플레로 너도나도 높은 학점을 받기 때문’(18.2%) ‘학점보다 업무수행에 도움을 주는 다른 요인들이 많기 때문’(8.9%) 등의 답변들도 있었다.
인터넷서울신문 맹수열기자 gun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