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자12자, 목판본 ‘증도가’와 서체 일치

활자12자, 목판본 ‘증도가’와 서체 일치

입력 2010-09-02 00:00
수정 2010-09-02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증도가자’ 역사적 의미

세계 최고(最古) 금속활자본인 고려시대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이하 증도가)에 대한 기록은 삼성출판박물관에 소장된 목판본 ‘증도가’(보물 제758호)에 남아 있다. 이 책에 따르면 1239년 당시 무신정부의 1인자였던 최이(崔怡)가 각공들을 시켜 더 이상 전해지지 않는 금속활자본 ‘증도가’를 목판으로 복각해 찍어 냈다고 한다. 목판본 ‘증도가’에 앞서 금속활자본 ‘증도가’가 제작·유통됐음을 명시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세계 최고(最古)금속활자로 추정되는 ‘증도가자’의 세 활자 소(所), 불(不), 어(於)와 목판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글자(점선 안)를 비교한 모습.
세계 최고(最古)금속활자로 추정되는 ‘증도가자’의 세 활자 소(所), 불(不), 어(於)와 목판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글자(점선 안)를 비교한 모습.
●목판 증도가에 금속활자본 명시

남권희 경북대 교수가 주장한 고려시대 금속활자 12글자는 명(明), 소(所), 어(於), 고(苦), 선(善), 평(平), 방(方), 법(法), 아(我), 복(福), 불(不), 자(子)다. 남 교수는 목판본 ‘증도가’와 비교한 결과 글자 모양이 일치한다는 점을 근거로 이들 금속활자를 ‘중도가자’라고 이름 붙였다. 특히 ‘명(明)’자는 지금의 글자와 다른 옛 글씨체로 쓰였는데 육안으로 봐도 그 모습이 일치한다는 것이다.

보통 한번 나온 책을 목판본으로 다시 제작하는 ‘번각본’(飜刻本)은 기존의 책을 뜯어 각 페이지(葉)를 목판에 붙인 다음 그 글씨를 그대로 새기는 방법을 택하기 때문에 글씨체까지도 원본과 대부분 일치한다는 게 남 교수의 설명이다.

●직지와 달리 주물사 주조 추정

남 교수는 이 금속활자가 밀랍 주조방식인 ‘직지’의 흥덕사자(興德寺子)와 달리 주물사 주조방식을 택한 것으로 추정했다. 또 흥덕사자가 지방에서 만든 활자인 반면 증도가자는 중앙에서 주조·사용된 점을 들어 고려시대의 주조기술과 인쇄기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보성고미술 측에 따르면 이들 금속활자는 일제강점기 어느 시점에 출토돼 일본인 수장가가 일본으로 유출했다가 10년 전 한국 개인 수장가가 매입해 국내로 들여왔다. 남 교수는 금속활자의 제조 시기를 밝혀 내기 위해 보존과학자들에게 성분 분석을 의뢰하는 등 3년 넘게 다각도의 분석과 검증을 거쳤다고 밝혔다.

현재 실물로 남아 있는 고려시대 금속활자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복( )’ 자와 북한 개성역사박물관의 ‘전(顚)’자 2점뿐이며, ‘직지’를 찍은 흥덕사의 금속활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들 금속활자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공인되면 세계 인쇄술의 역사는 직지의 발견에 이어 또 한번 새로 쓰여져야 한다. 하지만 그에 이르기까지는 국내외 학계의 면밀한 검증을 거쳐야 한다.

●국내·외 학계 검증 거쳐야

이와 관련, 문화재 당국은 신중한 입장이다. 금속활자의 성분 분석만으로는 정확한 연대 추정이 어렵고, 국내에 남아 있는 고려 금속활자가 1개밖에 없어 비교할 근거가 미약하기 때문이다.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오춘영 학예연구관은 “학계의 다각적인 검증을 거쳐야 하는 만큼 일단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보성고미술 측은 “우리로선 할 수 있는 방법을 총동원해 이런 결론을 내렸을 뿐”이라면서 “이번 발표를 계기로 이들 금속활자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용어 클릭]

●증도가(證道歌) 중국 선종의 육조(六祖)인 혜능 선사로부터 인가받은 당나라 영가 현각(665~713) 스님이 깨달음의 경지를 노래한 것이다.
2010-09-02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