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74.4%, 통일비용 내거나 검토 가능”

“성인 74.4%, 통일비용 내거나 검토 가능”

입력 2010-10-04 00:00
수정 2010-10-04 15: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나라 성인 4명 중 3명은 통일비용을 내거나 부담을 검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KBS가 독일 통일 20년을 맞아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천6명을 상대로 휴대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반드시 통일이 돼야 한다는 의견이 38.8%,통일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은 38.9%로 총 77.7%가 통일에 긍정적이었다.

 필요성을 못 느낀다는 10.8%,통일 반대는 2.5%,상관없다는 9.0%였다.

 통일비용 부담에 대해서는 ‘국민적 합의가 있다면 부담을 생각해보겠다’는 의견이 45.3%,‘소액이면 부담하겠다’가 21.3%,‘반드시 부담하겠다’는 7.8%으로 통일비용을 내거나 부담을 검토할 수 있다는 의견이 74.4%로 집계됐다.

 소득대비 통일비용의 적정 수준에 대한 질문에는 56.8%가 독일(소득의 0.7~2.4%)보다 낮은 수준을 선호했고 독일 수준이면 적당하다는 의견은 24.5%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통일비용 조성방식은 간접세 38.6%,기금조성 31.8%,국가발행 채권 17.8% 순이었다.

 통일방식은 2체제,2정부 유지하에 점진적 통일이 33.5%로 가장 많았고 북한정권 붕괴로 인한 흡수통일이 28.3%,통일연방정부하에 남북이 자치권을 갖는 통일이 25.9%로 뒤를 이었다.

 통일 후 전망에 대해서는 발전이 기대된다는 의견이 58.6%로 사회적 갈등이 증가할 것이라는 의견 41.4%보다 높았다.

 통일의 최대 걸림돌은 주변 열강의 상충된 이해(37.6%),남북간 서로 다른 체제(28.5%),남북간 불신(14.1%)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의 한계 허용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KBS는 통일 독일 20주년을 맞아 이날 밤 1TV 9시 뉴스에서 국민의 통일 의식도 조사 내용과 함께 독일이 통일에 들인 비용을 분석하고 한반도의 통일 여건을 집중 조명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