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능력시험 세계화…응시자 75배 급증

한국어능력시험 세계화…응시자 75배 급증

입력 2010-10-08 00:00
수정 2010-10-08 07: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어능력시험(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과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 구사력을 인증해 주는 시험이다.

 한국어를 세계에 보급하고 우리나라에서 유학 또는 취업할 때 활용하게 한다는 취지로 1997년 10월 처음 시행됐다.

 첫해에는 시행 국가가 우리나라,일본,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등 4개국 14개 지역에 응시자 수는 2천274명에 불과했다.

 이후 1998년 2천663명,1999년 3천445명,2000년 4천850명 등으로 매년 조금씩 응시자가 증가하다 2003년 1만명을 돌파(1만416명)했다.

 2007년부터는 응시횟수가 연 2회로 늘어나면서 응시자 수도 2006년 3만270명에서 2007년 7만2천292명,2008년 14만2천804명,2009년 17만507명 등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시행 12년 만에 응시자 수가 무려 75배나 급증한 것이다.올해부터는 시험횟수도 연 4회로 늘었다.

 이런 변화에는 아시아,유럽 등을 휩쓰는 ‘한류’도 단단히 한몫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응시지역도 갈수록 다변화하고 있다.1998년 뉴욕,로스앤젤레스 등 교민이 많은 미국 대도시들이 시행 지역에 포함된 데 이어 동남아시아,남미,유럽,아프리카 등지까지 매년 확대됐다.

 올해에는 스페인이 포함되는 등 총 39개국 136개 지역에서 시험이 치러졌다.

 현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시험을 주관하고 있지만 한국어능력시험을 국가 브랜드로 키우고 우수 유학생을 유치하는 주요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내년부터는 국립국제교육원으로 시험관리 업무를 이관하기로 했다.

 또 2012~2013년까지 유학생 전용 한국어능력시험을 개발하는 등 한국어능력시험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중장기 발전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