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펠러家 5대손 내한
“우리 가족의 헌신적인 자선 활동이 저에게는 가장 큰 귀감이 됐습니다.”스티븐 록펠러 2세(50) 리에코홀딩스 회장은 12일 서울 강남구의 ‘클럽 모우’ 골프장 회원 라운지에서 언론과 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투자차 지난 10일 한국을 찾은 록펠러 회장은 미국의 부유층 사이에 기부 문화를 정착시킨 공로로 명망이 높은 석유재벌 존 D 록펠러의 5대손이다.
![스티븐 록펠러 2세 리에코홀딩스 회장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0/13/SSI_20101013190515.jpg)
연합뉴스
![스티븐 록펠러 2세 리에코홀딩스 회장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0/13/SSI_20101013190515.jpg)
스티븐 록펠러 2세 리에코홀딩스 회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그는 빈민층을 대상으로 한 소액대출(마이크로크레디트)에 관심이 높아 도이체방크 뉴욕법인에서 10년간 ‘마이크로크레디트 개발펀드’를 운용했으며 방글라데시 그라민은행의 유누스 총재와도 친분이 돈독하다. 그간의 사회공헌 공로를 인정받아 유엔 풀브라이트상을 수상한 경력도 있다.
록펠러 회장은 록펠러 가문 특유의 기부 방식을 “빈곤의 뿌리를 찾아 없애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그는 자선사업을 할 때 단순한 쾌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부를 받는 쪽이 이를 통해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지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두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미국에는 큰 부를 축적하면 이를 사회에 도움이 되도록 써야 한다는 인식이 있다.”면서 “사회 공헌을 통해 기업은 사회의 다른 분야와 새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데다 직원들에게 행복한 근무 환경을 조성해 주는 데 일조해 비즈니스에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1965년 당시 린든 존슨 대통령이 ‘위대한 사회’(the Great Society) 건설을 표방하며 도입한 복지 프로그램을 자선활동의 이상적 모델로 생각해 왔다는 록펠러 회장은 “기부에도 때가 있다.”는 사실 또한 힘줘 말했다. “기업의 기부는 무엇보다 인내심이 있어야 합니다. 꼭 필요한 사람에게 꼭 필요한 때에 기부되는 적절한 기회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강원 홍천에 조성되고 있는 골프장 ‘클럽 모우’의 투자자로서 골프장 운영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록펠러 회장은 재계 인사들과의 만남 등 6박 7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17일 출국할 예정이다. 그러나 그는 지난 3월 화제가 된 ‘한국 록펠러 재단’ 설립 추진 등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10-10-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