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10명 가운데 6명은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고 70%는 외국인과 결혼해도 상관없다는 견해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담배를 피우는 인구가 꾸준히 낮아지면서 남자의 흡연율이 처음으로 50%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년 동안 자살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사람은 7.7%에 달했고 자살하고 싶은 주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과 ‘가정 불화’ 때문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0년 사회조사(가족.교육.보건.안전.환경 부문) 결과를 발표했다.
●청소년 고민,외모보다 직업이 많아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답변은 40.5%에 달했으며 특히 20대는 59.3%로 조사됐다.
또 ‘외국인과 결혼해도 상관없다’는 견해를 가진 응답자는 60.3%에 달했으며 20대는 70.3%로 조사돼 젊은 층일수록 국제결혼에 대해 개방적인 가치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는 응답자는 64.7%로 2006년 조사의 67.7%에 비해 소폭 낮아졌지만 이혼해서는 안 된다고 답한 비율은 2006년 29.4%에서 올해는 33.4%로 높아졌다.특히 미혼 여자의 절반(50.0%)은 경우에 따라 이혼할 수 있다고 답했다.
가족관계 만족도 물음에 남편은 부인에 대해 69.9%가 만족했으나 부인은 남편에 대해 59.6%만 만족한다고 답했고 남편은 장인.장모에 대해 56.1%가 만족하지만 부인은 시부모에 대해 45.5%가 만족한다고 답해 전반적으로 남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가사 분담을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한 비율은 36.8%로 2008년의 32.4%보다 4.4%포인트 늘었지만 실제로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고 응답한 남편과 부인은 각각 10.0%,10.3%에 그쳤다.
부모와 자녀와 같이 사는 비율은 35.3%로 2002년의 42.7%에 비해 7.4%포인트 줄었고 부모만 따로 사는 비중도 62.8%로 2002년의 56.7%에서 6.1%포인트가 증가했다.
부모의 노후생계에 대해 가족이 돌봐야 한다는 응답은 36.0%로 2002년의 70.7%에서 크게 줄었고 가족과 정부.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2002년 18.2%에서 올해는 47.4%로 급증했다.부모의 생활비는 부모 스스로 해결하는 경우가 48.0%로 가장 많았고 모든 자녀(26.1%),장남(12.4%),아들(11.3%),딸(1.8%)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청소년이 고민하는 문제는 공부(38.6%)와 직업(22.9%),외모(12.7%) 등의 순이었다.2002년 조사에서는 공부(39.8%)와 외모(19.7%)가 1,2위를 차지했고 직업은 6.9%에 그쳤으나 청년 구직난이 지속되면서 직업에 대한 고민이 크게 늘었다.
청소년의 고민상담 대상은 친구와 동료가 51.1%로 가장 많았고 부모 20.7%,스스로 해결 16.9% 등이 뒤를 이었으나 부모 가운데 아버지와 상담하는 경우는 2.9%에 그쳤다.
●조기유학 열풍 식어..학원비 부담 가장 많아
30세 이상 학부모 가운데 자녀의 유학을 원하는 응답자는 58.9%로 2008년 48.3%보다 10.6%포인트가 늘었으나 초등학교 때 유학을 원한다는 비중은 7.8%로 2008년의 12.3%에서 감소해 조기유학 열풍은 다소 식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모가 자녀를 대학에 보내고 싶어하는 이유는 1990년에는 ‘인격이나 교양을 쌓기 위해서’가 47.6%에 달했지만 올해는 32.0%로 줄어든 반면 ‘좋은 직장을 갖기 위해서’는 44.7%로 1990년의 29.2%보다 크게 늘었다.
자녀 교육비가 소득에 비해 부담된다고 응답한 가구주는 78.4%로 2000년의 73.4%보다 늘었으며 내역별로는 학원비 등 보충교육비가 67.8%로 학교납입금(28.7%)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올해 1학기에 등록금을 어떻게 마련했는지 조사한 결과,대학생의 70.5%는 가족의 도움을 받았으며 직접 대출(14.3%),스스로 벌어서(8.6%),장학금(6.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취업자 가운데 전공과 직업이 일치한다는 비율은 36.3%에 그쳤으며 불일치(39.7%) 보다 적었다.다만 대학원을 졸업한 취업자는 76.7%가 전공과 직업이 일치한 것으로 조사돼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전공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 비율은 46.5%로 절반에 못 미쳤으며 이는 2008년의 51.0%에 비해 4.5%포인트가 감소한 것이다.중.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비율은 43.1%로 대학생(50.1%)보다 낮았다.
●남성 흡연율 50% 이하로 첫 감소
올해 남자의 흡연율은 47.3%로 처음으로 50% 아래로 내려갔다.남자의 흡연율은 1989년 75.4%,1995년 73.0%,1999년 67.8%,2006년 52.2%였다.
여자의 흡연율도 2008년 3.2%에서 올해 3.1%로 소폭 감소했다.올해 20세 이상 인구 가운데 담배를 피우는 비율은 24.7%로 2008년에 비해 1.6% 포인트가 줄었으며 1999년 이후 흡연율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흡연자의 92.6%는 하루 평균 한 갑 이하를 피우며 하루에 11∼20개비를 피우는 비중이 47.2%로 가장 많았다.
흡연자 가운데 지난 1년 동안 금연을 시도했던 인구 비율은 45.5%에 달했으며,금연이 어려운 주된 이유는 ‘스트레스 때문’(49.6%)이었다.
20세 이상 인구 가운데 지난 1년 동안 술을 한잔 이상 마신 인구 비율은 68.4%이며,이 가운데 31.3%가 월 2∼3회 술을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성별로는 남자의 음주인구 비율은 81.8%,여자는 55.5%였다.
주 1회 이상 술을 마신 사람 가운데 절주나 금주를 시도한 인구 비율은 22.0%였다.
15세 이상 인구 10명 가운데 7명이 가정,직장,학교 등의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지난 1년 동안 자살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사람은 7.7%에 달했으며,자살하고 싶은 주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38.8%)과 가정불화(15.1%)였다.연령별로는 10대(10.1%)와 40대(8.6%)가 자살 충동을 가장 많이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기간에 10명 가운데 2명(20.7%)이 질병이나 사고로 아팠고 농어촌이 도시보다,여자가 남자보다 유병률이 높았다.
주로 이용한 의료기관 가운데 보건소와 한의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의료서비스에 대한 주된 불만 이유는 ‘의료비가 비싸기 때문’(30.0%)이었다.
●수입식품.학교 주변식품에 불안
수입 식품에 대해 58.7%가 불안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주된 이유는 ‘정부의 수입식품 규제관리가 미흡하기 때문’(43.2%)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학교 주변에서 판매되는 식품에 대해 52.1%가 불안하다고 느끼며 그 이유로는 ‘판매자의 식품안전 의식 부족’(33.1%)이 가장 많았다.
학교 및 보육시설에 제공되는 급식에 대해 응답자의 73.5%가 ‘보통 수준 이상’으로 생각하며,우리나라의 식품안전이 불안한 이유는 ‘식품업체의 안전의식 부족’이 46.6%로 가장 컸다.
평소 준법수준에 대해 64.8%가 자기 자신은 법을 지킨다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사람은 31.2%만 법을 지킨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우리 사회의 주된 불안 요인은 2008년에는 ‘범죄발생(18.3%)’이었으나 올해는 10명 가운데 3명(28.8%)이 ‘국가안보’라고 답했다.특히 국가안보,교통사고,신종전염병,범죄위험 부문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불안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우리 사회의 안전에 대한 인식도는 5년 전보다 15세 이상 인구의 46.6%가 ‘더 위험해졌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15세 이상 여자 인구의 51.7%가 집 근처에 야간에 혼자 걷기 두려운 곳이 있고,두려움을 느끼는 주된 이유는 ‘인적이 드물기 때문’(65.7%)이 압도적으로 많았다.이때 대처방법은 ‘무섭지만 그냥 다닌다’(56.2%)가 가장 많았다.
환경 보호를 위해 세금을 내는 것에 대해 ‘찬성’ 비율은 30.5%로 2005년의 24.9%에 비해 눈에 띄게 늘었다.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15세 이상 인구의 89.4%가 ‘재활용품을 분리배출’하고 81.1%가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뭄,홍수 등 지구 온난화 때문인 기후변화’에 대해 응답자의 66.4%,‘수입 농산물의 농약오염’에 대해 81.1%가 ‘불안하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담배를 피우는 인구가 꾸준히 낮아지면서 남자의 흡연율이 처음으로 50%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년 동안 자살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사람은 7.7%에 달했고 자살하고 싶은 주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과 ‘가정 불화’ 때문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0년 사회조사(가족.교육.보건.안전.환경 부문) 결과를 발표했다.
●청소년 고민,외모보다 직업이 많아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답변은 40.5%에 달했으며 특히 20대는 59.3%로 조사됐다.
또 ‘외국인과 결혼해도 상관없다’는 견해를 가진 응답자는 60.3%에 달했으며 20대는 70.3%로 조사돼 젊은 층일수록 국제결혼에 대해 개방적인 가치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는 응답자는 64.7%로 2006년 조사의 67.7%에 비해 소폭 낮아졌지만 이혼해서는 안 된다고 답한 비율은 2006년 29.4%에서 올해는 33.4%로 높아졌다.특히 미혼 여자의 절반(50.0%)은 경우에 따라 이혼할 수 있다고 답했다.
가족관계 만족도 물음에 남편은 부인에 대해 69.9%가 만족했으나 부인은 남편에 대해 59.6%만 만족한다고 답했고 남편은 장인.장모에 대해 56.1%가 만족하지만 부인은 시부모에 대해 45.5%가 만족한다고 답해 전반적으로 남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가사 분담을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한 비율은 36.8%로 2008년의 32.4%보다 4.4%포인트 늘었지만 실제로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고 응답한 남편과 부인은 각각 10.0%,10.3%에 그쳤다.
부모와 자녀와 같이 사는 비율은 35.3%로 2002년의 42.7%에 비해 7.4%포인트 줄었고 부모만 따로 사는 비중도 62.8%로 2002년의 56.7%에서 6.1%포인트가 증가했다.
부모의 노후생계에 대해 가족이 돌봐야 한다는 응답은 36.0%로 2002년의 70.7%에서 크게 줄었고 가족과 정부.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2002년 18.2%에서 올해는 47.4%로 급증했다.부모의 생활비는 부모 스스로 해결하는 경우가 48.0%로 가장 많았고 모든 자녀(26.1%),장남(12.4%),아들(11.3%),딸(1.8%)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청소년이 고민하는 문제는 공부(38.6%)와 직업(22.9%),외모(12.7%) 등의 순이었다.2002년 조사에서는 공부(39.8%)와 외모(19.7%)가 1,2위를 차지했고 직업은 6.9%에 그쳤으나 청년 구직난이 지속되면서 직업에 대한 고민이 크게 늘었다.
청소년의 고민상담 대상은 친구와 동료가 51.1%로 가장 많았고 부모 20.7%,스스로 해결 16.9% 등이 뒤를 이었으나 부모 가운데 아버지와 상담하는 경우는 2.9%에 그쳤다.
●조기유학 열풍 식어..학원비 부담 가장 많아
30세 이상 학부모 가운데 자녀의 유학을 원하는 응답자는 58.9%로 2008년 48.3%보다 10.6%포인트가 늘었으나 초등학교 때 유학을 원한다는 비중은 7.8%로 2008년의 12.3%에서 감소해 조기유학 열풍은 다소 식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모가 자녀를 대학에 보내고 싶어하는 이유는 1990년에는 ‘인격이나 교양을 쌓기 위해서’가 47.6%에 달했지만 올해는 32.0%로 줄어든 반면 ‘좋은 직장을 갖기 위해서’는 44.7%로 1990년의 29.2%보다 크게 늘었다.
자녀 교육비가 소득에 비해 부담된다고 응답한 가구주는 78.4%로 2000년의 73.4%보다 늘었으며 내역별로는 학원비 등 보충교육비가 67.8%로 학교납입금(28.7%)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올해 1학기에 등록금을 어떻게 마련했는지 조사한 결과,대학생의 70.5%는 가족의 도움을 받았으며 직접 대출(14.3%),스스로 벌어서(8.6%),장학금(6.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취업자 가운데 전공과 직업이 일치한다는 비율은 36.3%에 그쳤으며 불일치(39.7%) 보다 적었다.다만 대학원을 졸업한 취업자는 76.7%가 전공과 직업이 일치한 것으로 조사돼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전공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 비율은 46.5%로 절반에 못 미쳤으며 이는 2008년의 51.0%에 비해 4.5%포인트가 감소한 것이다.중.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비율은 43.1%로 대학생(50.1%)보다 낮았다.
●남성 흡연율 50% 이하로 첫 감소
올해 남자의 흡연율은 47.3%로 처음으로 50% 아래로 내려갔다.남자의 흡연율은 1989년 75.4%,1995년 73.0%,1999년 67.8%,2006년 52.2%였다.
여자의 흡연율도 2008년 3.2%에서 올해 3.1%로 소폭 감소했다.올해 20세 이상 인구 가운데 담배를 피우는 비율은 24.7%로 2008년에 비해 1.6% 포인트가 줄었으며 1999년 이후 흡연율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흡연자의 92.6%는 하루 평균 한 갑 이하를 피우며 하루에 11∼20개비를 피우는 비중이 47.2%로 가장 많았다.
흡연자 가운데 지난 1년 동안 금연을 시도했던 인구 비율은 45.5%에 달했으며,금연이 어려운 주된 이유는 ‘스트레스 때문’(49.6%)이었다.
20세 이상 인구 가운데 지난 1년 동안 술을 한잔 이상 마신 인구 비율은 68.4%이며,이 가운데 31.3%가 월 2∼3회 술을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성별로는 남자의 음주인구 비율은 81.8%,여자는 55.5%였다.
주 1회 이상 술을 마신 사람 가운데 절주나 금주를 시도한 인구 비율은 22.0%였다.
15세 이상 인구 10명 가운데 7명이 가정,직장,학교 등의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지난 1년 동안 자살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사람은 7.7%에 달했으며,자살하고 싶은 주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38.8%)과 가정불화(15.1%)였다.연령별로는 10대(10.1%)와 40대(8.6%)가 자살 충동을 가장 많이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기간에 10명 가운데 2명(20.7%)이 질병이나 사고로 아팠고 농어촌이 도시보다,여자가 남자보다 유병률이 높았다.
주로 이용한 의료기관 가운데 보건소와 한의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의료서비스에 대한 주된 불만 이유는 ‘의료비가 비싸기 때문’(30.0%)이었다.
●수입식품.학교 주변식품에 불안
수입 식품에 대해 58.7%가 불안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주된 이유는 ‘정부의 수입식품 규제관리가 미흡하기 때문’(43.2%)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학교 주변에서 판매되는 식품에 대해 52.1%가 불안하다고 느끼며 그 이유로는 ‘판매자의 식품안전 의식 부족’(33.1%)이 가장 많았다.
학교 및 보육시설에 제공되는 급식에 대해 응답자의 73.5%가 ‘보통 수준 이상’으로 생각하며,우리나라의 식품안전이 불안한 이유는 ‘식품업체의 안전의식 부족’이 46.6%로 가장 컸다.
평소 준법수준에 대해 64.8%가 자기 자신은 법을 지킨다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사람은 31.2%만 법을 지킨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우리 사회의 주된 불안 요인은 2008년에는 ‘범죄발생(18.3%)’이었으나 올해는 10명 가운데 3명(28.8%)이 ‘국가안보’라고 답했다.특히 국가안보,교통사고,신종전염병,범죄위험 부문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불안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우리 사회의 안전에 대한 인식도는 5년 전보다 15세 이상 인구의 46.6%가 ‘더 위험해졌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15세 이상 여자 인구의 51.7%가 집 근처에 야간에 혼자 걷기 두려운 곳이 있고,두려움을 느끼는 주된 이유는 ‘인적이 드물기 때문’(65.7%)이 압도적으로 많았다.이때 대처방법은 ‘무섭지만 그냥 다닌다’(56.2%)가 가장 많았다.
환경 보호를 위해 세금을 내는 것에 대해 ‘찬성’ 비율은 30.5%로 2005년의 24.9%에 비해 눈에 띄게 늘었다.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15세 이상 인구의 89.4%가 ‘재활용품을 분리배출’하고 81.1%가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뭄,홍수 등 지구 온난화 때문인 기후변화’에 대해 응답자의 66.4%,‘수입 농산물의 농약오염’에 대해 81.1%가 ‘불안하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