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잘버는 변호사’…실제로 1년 평균 66건 수임, 벌이는?

‘돈 잘버는 변호사’…실제로 1년 평균 66건 수임, 벌이는?

입력 2010-11-28 00:00
업데이트 2010-11-28 1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변호사 한해 평균 66건 수임…서울지역 최저변협 첫 조사

 개업 5년차 또는 나이 40세 이하에 해당하는 이른바 ‘청년 변호사’가 한해 벌어들이는 순소득은 평균 3천700만원대,매출은 9천400만원대인 것으로 파악됐다.

 28일 대한변호사협회가 펴낸 ‘한국 변호사백서 2010’에 따르면 전국의 청년 변호사 108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소득과 사건 수임액,수임경로 등을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변호사단체가 스스로 수입을 조사·발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청년 변호사의 1인당 연평균 매출액은 9천419만원(개인사업자 1억583만원,급여소득자 8천361만원)이었으며 여기서 사업비용을 뺀 연평균 소득은 3천778만원이었다.

 사건유형별 평균 수임액은 민사사건이 건당 55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형사 290만원,행정 260만원,가사 170만원,신청(가압류·가처분 등) 110만원 등이었다.

 소속 사무소의 형태는 법무법인(로펌) 등 합동법률사무소가 50.9%로 가장 많았고 사내·정부기관 변호사 32.4%,단독개업 7.4%,기타(고용·국선전담 변호사 등) 9.3%의 분포를 보였다.

 2012년에는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졸업자를 포함해 사상 최대인 한해 2천400명의 법조인이 배출될 예정이어서 청년 변호사의 비중은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한편 변호사의 연령별 분포는 35∼39세가 20.8%로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40∼44세 19.9%,30∼34세 8.8%,25∼29세 0.5% 등으로 44세 이하가 절반을 차지했다.

 전체 변호사의 1인당 수임사건 수는 연간 65.7건이었으며 지역별(광역시·도)로는 광주가 139.1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은 54.4건으로 가장 적었다.특히 서울은 제주(59.6건)보다도 수임 건수가 적을 정도로 경쟁이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변협 관계자는 “국세청 등에서 소득자료를 받기가 어렵고 청년 변호사들의 설문조사 응답률이 3.9%에 불과해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지만 요즘 청년 변호사의 경제적 상황을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로서는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