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총장들 ‘등록금 동결’ 또 충돌

교과부·총장들 ‘등록금 동결’ 또 충돌

입력 2011-01-22 00:00
업데이트 2011-01-22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장들 “자금압박 커… 지원 미흡” 李장관 “대학의 사회적 책무 필요”

대학 등록금 동결 여부를 두고 4년제 대학 총장들과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또다시 부딪쳤다.

21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동계세미나에 참석한 이 장관은 지난주에 이어 등록금 인상 자제를 요청했고, 총장들은 대학의 자금 압박 요인을 거론하며 난색을 표했다. 총장들의 강한 반발에 이 장관은 등록금 동결이 가이드라인이 아니라는 점을 밝히기도 해 주목된다.

이 장관은 “물가가 계속 불안한 상황이라 다시 한번 총장들께 부탁드린다.”면서 “등록금 인상을 자제하면 정부가 최대한 재정 지원을 해 부족분을 해결해 드리겠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 예산을 올해(3030억원)의 배로 늘리고 사업비 집행 가이드라인도 바꿔 지원금을 최대한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하겠다.”고 구체적인 안을 제시했다. 대학의 재정 수입 구조도 다변화해 기부금 세액 공제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산학협력 활성화와 세제 지원도 적극 검토할 것임을 밝혔다.

하지만 이 장관의 거급된 요청에도 대학 총장들은 정부의 지원책이 미흡하다며 불만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충주대 장병집 총장은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의 등록금 동결 요청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는 의견도 있지만, 올해부터 공무원 봉급이 5% 인상돼 학교 재정에서 인건비 지출 요인이 늘어나고, 또 올해 바뀌는 법에 따라 시간강사 예우 문제와 공공요금 인상 등 각종 의무 사항에 따라 대학의 자금 압박이 큰 상황”이라면서 “장관이 내년도 교육역량강화사업을 대폭 지원한다고 하지만 교육대학의 절반은 지원도 못 받는데 이런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거냐”고 말했다.

이성우 국민대 총장은 “이미 고등교육법으로 등록금 상한제를 제도화했는데 또다시 가이드라인을 주는 건 법령 취지에 반하는 조치”라며 “각 대학이 상한선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등록금을 정하도록 법령을 제정한 만큼 정부는 이를 존중해 달라.”고 압박했다. 정부의 대학 재정 지원 사업에 대한 평가 방식을 문제삼는 지적도 나왔다. 이 장관은 “등록금 동결은 공식 가이드라인이라기보다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강화를 위한 파트너십 차원에서 말씀드리는 것”이라면서 지원책을 강구할 뜻을 내비쳤다.

부산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1-01-22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