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주의자’ 안철수식 공부법

‘완벽주의자’ 안철수식 공부법

입력 2011-03-10 00:00
수정 2011-03-10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① 잡지사에 칼럼 자청 ② 죽을 고생해서 공부 ③ 해당기술 완벽 습득

안철수 카이스트 석좌교수는 뭐든지 완벽하게 이해하고 알게 될 때까지 끊임없이 반복하는 완벽주의자로 유명하다.

어린 시절 새가 알을 품어 새끼를 깐다는 얘기를 듣고는 에디슨처럼 메추리알을 가슴에 품고 이불 속에서 잠들었다는 에피소드가 전한다. 바둑을 배울 때 잘 두는 사람의 지도를 받기보다 먼저 책을 50권쯤 읽어 이론을 익힌 다음 바둑알을 잡았고, 컴퓨터도 먼저 책을 사 읽고 모르는 부분에 빨간줄을 그어 가며 공부한 뒤 기계를 샀다고 한다. 1991년 군에 입대하는 날에도 새벽까지 컴퓨터 바이러스와 씨름하다 열차에 오르는 바람에 가족들에게 군대 간다는 말도 못하고 나왔다는 이야기도 있다.

최근에는 전문기술을 완벽하게 알기 위해 어려움을 자청했다는 ‘안철수식 공부법’이 화제가 되고 있다. 바이러스 백신을 만들기 위해서는 매달 최첨단 기술이 나올 때마다 새로 익혀야 하는데, 공부할 시간이 여의치 않았던 안 교수가 택한 방법은 잡지사에 전화해 해당 기술에 대한 칼럼을 기고하겠다고 나서는 것이다. 그렇게 스스로에게 강제로 책임감을 부여해 원고 마감 때까지 죽을 고생을 해 공부하면서 결국 해당 기술을 완벽하게 익혀 나갈 수 있었다.

그가 좋아한다는 ‘큰 힘에는 책임이 따른다.’는 영화 ‘스파이더맨’의 대사처럼 해당 분야에 대해 완벽하게 알고 있어야만 언급을 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잘 알지 못하는 분야를 섣부르게 언급했다가 ‘선무당이 사람 잡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기 위한 그만의 원칙이다.

그래서일까. 안 교수는 ‘3·4 디도스’ 공격과 관련해서도 말을 아꼈다. 자타가 공인하는 보안업계 1인자임에도 “카이스트 교수로 부임하면서 안철수연구소 현업에서 손을 뗀 지 3년이나 됐고, 김홍선 최고경영자(CEO) 등이 연구소를 잘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내가 나서서 할 이야기가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대전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1-03-1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