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지킴이’ 가수 김장훈 회견
“이 상황에서 화를 내면 오히려 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신 지금 하는 일들을 열배로 키워서 하겠습니다.”![가수 김장훈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30/SSI_20110330200021.jpg)
연합뉴스
![가수 김장훈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3/30/SSI_20110330200021.jpg)
가수 김장훈
연합뉴스
연합뉴스
그는 일본 정부의 교과서 개정 단행에 대해 “일본이 초등학교에서 시작해 이번엔 중학교, 내년에는 고등학교 교과서를 개정할 것으로 보여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는 생각에 마음이 조급해진다.”면서 “최근 일본 정부가 나오는 방법도 격해지고, 잦아지고, 적극적으로 변해 가 더욱 두렵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이 과거사를 딛고 지진 참사를 겪고 있는 일본에 따뜻한 정을 보여 주고 있는 데 대해 전 세계의 찬사가 쏟아지고 있는 시점에 일본 정부가 교과서 개정을 단행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면서 “자신들이 이슈의 중심에 있을 때 독도 문제를 거론해 분쟁화시키려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유감을 표시했다.
하지만 그는 “기본적으로 지진 구호는 휴머니즘이고, 독도 문제는 엄연한 팩트(현실)라는 생각이며, 구호는 일본 정부가 아니라 일본 사람들에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속 해야 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독도 문제는 문화 및 관광, 학계 연구 등으로 풀어나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 김장훈은 코리아컵 국제 요트대회 지원도 호소했다. 그는 “포항을 출발해 울릉도와 독도를 돌아 나오는 요트 대회는 전 세계에 독도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알림과 동시에 한국 영토라는 사실을 알리는 효과가 있다.”면서 “한국홍보전문가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와 함께 전 세계 유력 일간지에 대회 관련 광고를 게재하고, 방송사에 독도 관련 다큐멘터리를 찍어 보내 홍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독도 문제는 관광, 레저, 스포츠로 푸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임에도 (요트 대회를) 글로벌 행사로 치르기엔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면서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르면 8월 15일 동해에서 최대 규모 선상 페스티벌을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경덕 교수도 “일본이 독도 문제를 교과서에 넣은 것은 독도를 국제분쟁 지역화해 사법재판소로 끌고 가기 위한 것이니만큼 전략에 휘말리면 안 된다.”면서 “독도는 지리적, 역사적, 국제법적으로 우리 땅인 만큼 주장보다는 문화관광적인 측면으로 접근해 세계 여론을 환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1-03-3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