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창 전 금융감독원장에 대한 의혹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김 전 원장이 부동산 신탁회사인 아시아신탁의 지분을 명의신탁 형태로 갖고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 회사의 관계사인 아시아자산운용도 관심 대상으로 떠올랐다. 아시아신탁과 마찬가지로 지난해 부산저축은행의 1500억원 유상증자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3일 아시아자산운용 등의 공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해 6월 30일 부산저축은행에 약 10억원을 출자해 주식 3만 8669주(0.52%)를 취득했다. 출자금은 당시 자본총계 82억원의 12%에 해당한다. 중소회사인 아시아자산운용으로서는 부담이 가는 액수로 보인다. 특히 유상증자 참여 당시 아시아자산운용은 각각 16억 7000만과 16억 6000만원의 영업 손실과 당기 순손실을 낸 상태였다.
앞서 아시아자산운용은 2009년 4월 금융 당국으로부터 금융투자업 인가를 받아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당시 금감원장이 김종창 전 원장이었다. 그런데 김 전 원장이 금감원장으로 취임하기에 앞서 부인 명의로 4억원을 출자했고 사외이사로도 재직했던 아시아신탁이 아시아자산운용의 지분 9.9%를 보유하고 있다.
아시아자산운용과 아시아신탁, 부산저축은행 사이에도 관계가 얽혀 있다. 아시아신탁은 아시아자산운용 지분을 9.9%, 부산저축은행과 계열사인 대전저축은행도 아시아자산운용 지분을 각각 4.5%씩 갖고 있다. 아시아신탁은 부산저축은행에 약 90억원을 출자했다가 절반가량만 회수했고, 나머지는 손실 처리한 상태다.
얽히고설킨 관계 때문에 부산저축은행 유상증자에 아시아신탁과 아시아자산운용이 동시에 참여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돈다. 게다가 이 과정에서 김 전 원장이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시아자산운용 관계자는 “아시아신탁과 아시아자산운용은 별개 법인이고 독립적으로 경영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규모가 큰 부산저축은행에 출자한 것도 업무상 제휴 관계 등을 고려한 것”이라고 말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공정사회 추진회의 참석
4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3차 공정사회 추진회의에서 김동수(앞줄 왼쪽) 공정거래위원장과 김석동(앞줄 오른쪽) 금융위원장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4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3차 공정사회 추진회의에서 김동수(앞줄 왼쪽) 공정거래위원장과 김석동(앞줄 오른쪽) 금융위원장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김 전 원장이 부동산 신탁회사인 아시아신탁의 지분을 명의신탁 형태로 갖고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 회사의 관계사인 아시아자산운용도 관심 대상으로 떠올랐다. 아시아신탁과 마찬가지로 지난해 부산저축은행의 1500억원 유상증자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3일 아시아자산운용 등의 공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해 6월 30일 부산저축은행에 약 10억원을 출자해 주식 3만 8669주(0.52%)를 취득했다. 출자금은 당시 자본총계 82억원의 12%에 해당한다. 중소회사인 아시아자산운용으로서는 부담이 가는 액수로 보인다. 특히 유상증자 참여 당시 아시아자산운용은 각각 16억 7000만과 16억 6000만원의 영업 손실과 당기 순손실을 낸 상태였다.
앞서 아시아자산운용은 2009년 4월 금융 당국으로부터 금융투자업 인가를 받아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당시 금감원장이 김종창 전 원장이었다. 그런데 김 전 원장이 금감원장으로 취임하기에 앞서 부인 명의로 4억원을 출자했고 사외이사로도 재직했던 아시아신탁이 아시아자산운용의 지분 9.9%를 보유하고 있다.
아시아자산운용과 아시아신탁, 부산저축은행 사이에도 관계가 얽혀 있다. 아시아신탁은 아시아자산운용 지분을 9.9%, 부산저축은행과 계열사인 대전저축은행도 아시아자산운용 지분을 각각 4.5%씩 갖고 있다. 아시아신탁은 부산저축은행에 약 90억원을 출자했다가 절반가량만 회수했고, 나머지는 손실 처리한 상태다.
얽히고설킨 관계 때문에 부산저축은행 유상증자에 아시아신탁과 아시아자산운용이 동시에 참여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돈다. 게다가 이 과정에서 김 전 원장이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시아자산운용 관계자는 “아시아신탁과 아시아자산운용은 별개 법인이고 독립적으로 경영되고 있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규모가 큰 부산저축은행에 출자한 것도 업무상 제휴 관계 등을 고려한 것”이라고 말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1-06-0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