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약과 전문약의 재분류가 사실상 마무리됨에 따라 일반약의 의약외품 전환으로 촉발된 의약계의 안전성 논쟁이 종지부를 찍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2일 보건복지부와 의약계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3개월간 ‘의약품 분류 조정방안’ 작업을 진행한 결과 이상 반응이 적어 안전성이 입증된 전문약은 일반 의약품으로 전환할 것으로 알려졌다. 검토 대상은 해외에서는 처방약이 아니면서 저용량·단기 사용으로 증상 완화가 가능한 약품이다. 저용량의 라니티딘(위장약), 항진균제, 인공눈물 등이 해당된다. 일반약 전환이 검토되는 제품은 라니티딘 13종, 항진균제 2종, 인공눈물 20종 등이다.
특히 인공눈물 시장은 최근 안구건조증 환자가 급증하면서 연간 700억원대로 성장했다. 일반약 전환이 이뤄지면 약국의 수익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반대로 현재 약사법상 의사의 처방 없이 약사가 약국에서 판매하는 프로나제 등 ‘소염효소제제’와 ‘소염진통제’를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약으로 분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염효소제제는 단백질을 분해해 염증을 가라앉히는 기능을 하는 약으로, 이번 조치에는 90여개 제품이 포함된다. 염증과 통증을 동시에 줄이는 소염진통제는 120종 이상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조치는 소염제의 상당수를 의사의 관리 아래 둬 의약품의 오·남용을 줄이고, 안전성을 강화한다는 취지로 마련됐다. 일본과 이탈리아, 프랑스 등은 이들 제제를 처방약으로 분류하고 있어 국내 의료계도 최근까지 “우리나라도 국제 기준에 맞춰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복지부는 의약품 재분류안을 중앙약사심의위원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일반약의 의약외품 전환은 고시 개정 사안인 반면, 전문·일반약 전환은 위원회의 논의 후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결정하게 된다. 이 같은 분류체계 변화는 과거 의료계와 약계가 각각 요구했던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두 직능단체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앞서 지난 10일 진수희 복지부 장관은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대통령과 총리 모두 (약국외 판매 작업을) 우회적으로 복잡하게 하기보다는 정도(正道)로 하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고 했다.”면서 “그래서 지난 2월부터 의약품 재분류 논의에 대비해 분류작업을 해 왔다.”고 밝혔다.
정현용·안석기자 ccto@seoul.co.kr
2011-06-1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