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적인 약물 복용 실태
육상은 단순한 스포츠다. 동시에 1000분의1초, 100분의1㎝를 다투는 미세한 종목이기도 하다. 이걸 모두 몸뚱이에 아무것도 걸치지 않는 맨몸으로 하기에 의미가 있고 아름답다. 그러나 여기까지는 보이는 부분이다.조혈제 불법 투약 의심을 받고 있는 마라톤 선수 지영준(왼쪽)과 이선영.
삶은 현실이다. 누군가 한국에서 육상 선수로 살아가기로 마음먹었고 또 성공하기를 원한다면, 그는 수많은 난관을 헤쳐가야 한다. 초등학교 때는 소년체전 및 각종 대회에 나가 두각을 나타내야 육상을 잘하는 중학교에 갈 수 있다. 중·고등학교 때도 마찬가지다.
대학 혹은 실업팀에 들어가기 위해 다른 선수들보다 빨리 달리고, 멀리 뛰고, 높이 날아야 한다. 엘리트 체육이 공고히 자리 잡은 한국에서 학생 선수의 중도 포기는 곧 삶의 포기를 뜻한다.
생존이 걸린 문제를 두고 타인과의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정작 자신과의 싸움에는 약해진다. 학교 체육 지도자들도 마찬가지다. 훌륭한 자질을 갖춘 선수를 최고의 수준으로 올려놔야 밥줄이 끊기지 않는다. 힘들이지 않고도 기록을 단축할 수 있는 유혹에 쉬 넘어갈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현장의 육상 관계자들이 전하는 약물 복용의 실태는 충격적이었다. 한 육상 관계자는 “선수들이 약물을 복용하고 경기에 나가는 것은 이미 공공연한 이야기”라면서 “마라톤의 경우 조혈제를 맞고 경기에 나가면 여자는 7~8분, 남자는 1~2분 정도 기록 단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좋은 성적을 내야 대학이나 실업팀에 진출할 수 있다 보니, 이를 앞둔 시기와 중요한 경기에는 이 같은 사례가 더 많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육상 관계자는 “수년 전부터 선수들 사이에 조혈제를 맞는 것이 당연시됐다.”면서 “심지어 대회 전 선수들끼리 ‘너 맞았니, 안 맞았니’ 등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주고받는 모습도 본 적이 있다.”고 전했다.
물론 각종 대회에는 대부분 도핑테스트가 이뤄진다. 하지만 모든 조혈제가 금지 약물은 아니다. 성분에 따라 도핑방지위원회에 의해 금지된 약물이 있고, 아닌 약물도 있다. 문제가 되는 약물이라도 소변검사 시 체내에서 자연 생성된 것과 유사한 성분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적발도 쉽지 않다. 그래서 세계도핑방지기구(WADA)는 이런 사례들을 취합해 매년 새로운 금지 약물 목록을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을 뒤쫓아 가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선수에 대한 입체적인 관리와 철저한 교육이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금지 약물에 대한 무지와 안이한 판단으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여자 장대높이뛰기 한국 기록 보유자였던 임은지는 발목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복용한 지네환이 문제가 됐다. 소변에서 금지 약물인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와 클로로티아지드가 검출돼 3개월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또 남자 5000m의 이경재는 인터넷을 통해 구입한 ‘순간적으로 힘을 내는 데 좋은’ 약을 복용했다가 흥분제인 메틸헥산아민이 검출돼 2년 자격정지의 중징계를 받았다. 그는 관련 징계위원회 청문회에서 “아무 문제가 없는 약이라는 광고를 믿었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춘천 조한종·서울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1-06-1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