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연구팀 규명, ‘김치’가 ‘기무치’보다 맛과 항암 탁월

부산대 연구팀 규명, ‘김치’가 ‘기무치’보다 맛과 항암 탁월

입력 2011-06-26 00:00
수정 2011-06-26 09: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나라 배추로 담근 김치가 일본 배추로 담근 김치보다 훨씬 맛이 좋을 뿐 아니라 항암효과도 탁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산대 식품영영학과 박건영 교수 연구팀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배추인 전남 해남의 겨울황과 구동풍, 일본의 대표적인 배추인 이바라키 황심과 아이치 황심을 비교한 ‘한국 및 일본 배추를 이용한 김치의 품질 특성 및 암 예방 효과’라는 연구논문을 26일 발표했다.

이 논문에 따르면 한국산 배추로 담근 후 4주간 숙성한 김치의 탄력성은 53.5%로, 일본산(41.4%)보다 월등히 높았다.

한국산 배추김치가 아삭아삭한 맛을 더 낸다는 뜻이다.

또 숙성한 한국산 배추김치의 총균 수는 일본산보다 적은 반면 신맛과 탄산 맛을 내는 젖산균 수는 한국산 배추김치에서 일본산 배추김치보다 더 많이 검출됐다.

한국산 배추 김치에서는 부패균이 서서히 자라고, 맛과 기능성을 높이는 젖산균은 빨리 자란다는 의미다.

특히 AGS 인체 위암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6주간 숙성한 한국산 배추김치의 암세포 성장 억제율이 57~77%로 측정됐으나 같은 기간 숙성한 일본산 배추김치는 40~60%에 그쳤다.

HT-29 인체 결장암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한국산 배추김치의 암세포 억제율은 62~73%로 나타났으나 일본산은 52~63%에 머물러 한국산 배추김치의 뛰어난 항암 효과가 입증됐다.

박건영 교수는 “우리나라 배추가 일본산보다 수분은 적게 머금고 있으면서도 영양분은 더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도출된 것 같다”면서 “한국이 김치 종주국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