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지검, 민노당 후원 교사·공무원 171명 기소

창원지검, 민노당 후원 교사·공무원 171명 기소

입력 2011-07-25 00:00
수정 2011-07-25 1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창원지검 공안부(이종구 부장검사)는 공무원 신분으로 정당에 가입해 당비와 후원금을 낸 혐의(정치자금법 위반 등)로 경남지역 교사와 공무원 194명을 적발해 171명을 불구속 기소하고 23명을 불기소 처분했다고 25일 밝혔다.

기소된 이들은 국공립 교사 96명, 사립 교사 33명, 지방 공무원 42명이다.

지방 공무원들은 도청과 시ㆍ군청에서 근무하는 지자체 공무원이 41명으로 대부분이고 교육공무원 1명도 포함됐다.

이 공무원들은 정치자금법 공소 시효인 5년을 기준으로 2006년 7월 이후 민주노동당에 가입해 월 1만원 당비 또는 후원금을 낸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불기소한 23명 가운데 6명은 탈당의사를 밝혀 기소유예했으며 퇴직자 2명은 입건유예했다.

당비 또는 후원금 이체내역이 공소시효 5년을 경과했거나 이체내역이 확인되지 않은 나머지 사람들은 공소권 없음 처리하거나 무혐의 처리했다.

한편, 경남진보연합은 이날 낮 창원지검 앞에서 집회을 열고 민노당 가입 교사와 공무원들에 대한 탄압을 중단하고 정치기본권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