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3일 새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집필기준 개발과 관련, “역사적 사실, 교육적 측면, 헌법정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개발에 대한 역사학계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한 4개 역사학회 회장들과의 간담회에서 “학생들이 역사 과목을 통해 역사에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역사학계에서 이 같은 점을 다양하게 고려한 연구가 활성화됐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이인재(연세대 교수)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김희곤(안동대 교수)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 이진한(고려대 교수) 한국사연구회 총무이사, 김돈(서울과학기술대 교수) 역사교육연구회 회장 등 4명의 회장은 진보적 성향의 학자들이 다수 포함된 역사학회의 대표 및 임원을 맡고 있는 교수들이다.
30분간 이뤄진 간담회에서는 정부가 지난 8월 고시한 개정 역사 교육과정의 ‘자유민주주의’ 용어와 관련한 의견 청취,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가운데 유엔의 대한민국 승인, ‘자유민주주의’ 용어 사용, 독재 표현 등 주요 쟁점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졌다. 학회장 등은 이 장관에게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작성 절차가 투명하지 못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또 공동질의서를 통해 “개정 역사 교육과정은 연구진 검토가 끝난 내용을 교과부가 직권수정해 절차상 하자가 있다.”며 재고시를 요구했다.
이인재 회장은 “집필기준은 모두에게 공개되는 것인데, 이를 만들기 위한 논의가 비공개로 이뤄지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면서 “결국 비공개 논의가 문제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역사교육과정개발 추진위원회(역추위)가 장관의 자문기구에 불과한데도 사실상 결정권을 행사하는 등 월권을 하고 있다.”며 역추위의 역할 재정립도 주문했다. 이 장관은 이에 대해 “일부 관점의 차이가 있지만, 심사숙고해 보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11-0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