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수리 가 만점 0.2 ~ 0.4%… 외국어 최대 3%
올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쉬웠지만 쉽지 않은 시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쉬웠다는 근거는 지난해 수능과 비교해서다. 하지만 올 6·9월 모의고사와 비교하면 어려워져 수험생이 체감하기에 쉽지 않았다는 것이다. 영역별로도 언어영역과 수리 가형은 어려웠던 반면 수리 나형과 외국어영역은 매우 쉬워 한두 문제만 틀려도 2등급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언어와 수리 가형은 변별력을 갖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된 셈이다. 때문에 남은 기간 더 꼼꼼하게 자신의 상황을 분석, 전략을 세워야 한다.
11일 오전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수도여고 3학생들이 전날 치른 대학수학능력시험 가채점을 마친 뒤 입시학원이 만든 대학 배치 참고표를 보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내 점수 잘 나왔을까
11일 오전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수도여고 3학생들이 전날 치른 대학수학능력시험 가채점을 마친 뒤 입시학원이 만든 대학 배치 참고표를 보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11일 오전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수도여고 3학생들이 전날 치른 대학수학능력시험 가채점을 마친 뒤 입시학원이 만든 대학 배치 참고표를 보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예상되는 영역별 만점자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입시업체들에 따르면 언어영역의 만점자 비율은 0.20~0.33%, 수리 가는 0.20~0.43%, 수리 나는 0.80~1.50%, 외국어는 1.70~3.06%에 달했다. 수리 나형과 외국어영역의 만점자 비율이 더 높다는 점을 빼면 전반적으로 2010학년도 수능과 비슷한 수준이다. 2010학년도 수능은 쉬운 수능이었다.


수험생들은 우선 정확한 가채점 결과를 갖고 있어야 한다. 다만 가채점 결과, 특히 원 점수의 등급컷에 너무 의존할 필요는 없다. 대입이 원 점수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닌 까닭이다. 손은진 메가스터디 전무는 “수험생들은 등급 구분점수 추정치를 참고해 수시모집의 수능 최저학력 기준 충족 여부를 빠르게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 수시모집에 지원한 경우 해당 대학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수능 이후에 원서접수를 하는 수시 2차 모집과 정시모집의 기회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전략을 짜야 한다. 반면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충족되고, 수시모집에서 도전하고 싶다면 남아 있는 대학별고사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아울러 최상위권을 제외한 상위권과 중상위권은 동점자도 많이 나올 전망이다. 이때는 상대적으로 수능 외에 내신성적인 학생부 성적의 영향이 커질 수 있다. 대학별로 학생부 반영 비율이 달라서 교과와 과목 수, 등급 간 점수 차를 살펴봐야 한다. 원하는 대학의 모집요강을 꼼꼼히 봐야 한다. 전형 방법도 다르고 반영비율도 다른 까닭에서다. 자신이 잘본 수능 영역의 반영 비율과 탐구영역 반영 과목 수, 영역별 가산점 부여 등이 당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11-1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