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한미FTA 농어업 피해 15년간 1조1천억원”

경남도 “한미FTA 농어업 피해 15년간 1조1천억원”

입력 2011-11-23 00:00
수정 2011-11-23 1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에 따라 경남지역 농ㆍ수ㆍ축산 분야에서 향후 15년간 1조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경남도는 경남발전연구원에 의뢰해 한미 FTA 발효에 따른 피해를 분석한 결과 15년간 총 1조1천421억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고 23일 밝혔다.

분야별로는 축산(7천73억원, 61.9%)과 과수(3천236억원, 28.3%)가 90%를 차지했다.

채소(660억원, 5.8%), 수산물(343억원, 3%), 곡물(109억원, 1%)이 뒤를 이었다.

축산분야에서는 쇠고기(3천124억원, 44.2%)와 돼지고기(2천793억원, 39.5%)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됐다

닭고기(657억원, 9.3%)와 낙농(499억원, 7%)의 피해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경남도는 설명했다.

과수분야에서 단감이 2천382억원으로 전체의 73.6%에 달해 창원과 김해지역 단감 재배 농가의 큰 피해가 우려된다.

수산물의 경우 일반해면어업(188억원, 54.8%) 천해양식업(149억원, 43.4%) 내수면어업(6억원, 1.8%) 등의 순으로 피해가 크고 어종별로는 민어(146억원, 42.6%)의 피해가 가장 많을 클 것으로 추정됐다.

이 같은 피해를 줄이고자 경남도는 농축수산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선 내년에 5천249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내년에 이 분야들을 중심으로 한 FTA 대응 로드맵을 수립하고 추가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