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鐵의 신화’ 지다

‘鐵의 신화’ 지다

입력 2011-12-14 00:00
업데이트 2011-12-1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 별세… ‘製鐵報國’으로 세계최고 기업 키워

한국, 나아가 세계 최고의 ‘철강왕’으로 불린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이 13일 오후 5시 20분쯤 지병인 폐질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4세. 박 명예회장은 한국 철강산업의 신화이자 현대정치경제사의 핵심 인물 가운데 한 명이었다.

이미지 확대
13일 84세로 별세한 ‘철의 사나이’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이 포항 제철 사장으로 재직하던 1988년 12월 포항제철 내에서 고로 등을 바라보고 있다. 포스코 제공
13일 84세로 별세한 ‘철의 사나이’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이 포항 제철 사장으로 재직하던 1988년 12월 포항제철 내에서 고로 등을 바라보고 있다.
포스코 제공
박 명예회장의 주치의인 장준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호흡기 내과 교수는 이날 “급성폐손상으로 인한 호흡곤란이 발생해 운명했다.”고 발표했다. 장 교수는 “지난달 수술 때 보니 폐 부위에 석면과 규폐(珪肺)가 발견됐다.”면서 “이런 물질 때문에 발생한 염증으로 폐의 석회화가 일어났고 흉막유착이 심해졌다.”고 밝혔다. 또 “지난달 9일 호흡곤란으로 입원해 이틀 뒤인 11일 한쪽 폐와 흉막을 모두 절제하는 흉막-전폐절제 수술을 받았고 이후 급성폐손상이 발생, 치료를 받던 중 돌아가셨다.”고 말했다. 박 명예회장은 10년 전 흉막 섬유종으로 미국 코넬대병원에서 종양수술을 받은 후유증을 앓아 왔다.

박 명예회장은 입원 중 병실에서 부인 장옥자씨가 지켜보는 가운데 “포스코가 국가산업 동력 성장에 기여하게 돼 굉장히 만족스럽다.”면서 “포스코가 더 크게 성장해 세계 포스코가 되길 바란다.”고 유언했다. 또 “포스코 창업 1세대가 어렵게 사는 사람이 많아 안타깝다.”면서 “임직원들이 애국심을 갖고 일해 달라.”고 당부했다.

장씨에게는 “고생시켜 미안하다.”면서 “화목하게 잘 살아라.”라고 말했다. 4녀 1남 가운데 미국에 있는 차녀 유아씨를 제외한 모든 가족과 사위들이 임종을 지켰다. 박 명예회장은 개인 명의로 된 재산이 한 푼도 없는 데다 포스코 주식 1주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대한상공회의소를 비롯, 재계에서는 박 명예회장의 별세와 관련해 “철강산업의 선구자인 위대한 인물이 떠나셨다.”면서 “무역 1조 달러 달성의 원동력이었다.”며 애도했다. 국가보훈처는 박 명예회장을 국립현충원에 안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보훈처는 박 명예회장이 무궁훈장, 국민1등 훈장을 받은 경력 등 국립현충원 안장자격 기준을 갖춘 만큼 안장심의위원회 긴급심의를 거쳐 결정하기로 했다.

신진호·김소라기자 sayho@seoul.co.kr

2011-12-14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