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꼬’ 때문에 멱살잡이…속 타는 농심(農心)

‘물꼬’ 때문에 멱살잡이…속 타는 농심(農心)

입력 2012-06-22 00:00
수정 2012-06-22 15: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충남 서천 가뭄피해 현장

충남 서천군 판교면에서 30년 넘게 농사를 지어온 조 모(60) 씨는 난생 처음 이웃과 멱살잡이를 했다. 인근 관정에서 물을 끌어다 논에 대고 있었는데, 이웃이 밤사이 몰래 자신의 논으로 물길을 돌려놨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물꼬 싸움’은 요즘 마을 곳곳에서 벌어지는 풍경이다. 조 씨는 “경찰서에 가네 마네 소리도 나오고 동네 분위기가 말이 아니다”라며 “어쩌다 이렇게 됐는지…”라며 긴 한숨을 내쉬었다.

마을 인심이 이렇게까지 팍팍해진 것은 한 달 이상 이어지고 있는 가뭄 때문.

조 씨는 “지금 물을 충분히 대지 않으면 애써 심어놓은 모가 다 말라버리니까 다들 신경이 예민해진 상태”라고 전했다. 이 지역 논은 빗물에 의존해 농사를 짓는 천수답. 관개시설이라곤 마을에 파놓은 대형관정 하나가 고작이다. 최근 관정이 바닥을 드러내면서 마을 인심도 덩달아 흉흉해졌다.

쩍쩍 갈라진 논바닥에는 심은 지 20여 일 남짓 된 모들이 처음 심은 상태 그대로 노랗게 말라비틀어져 있었다. “지금쯤 한 뼘은 자라있어야 되는데...”라며 가슴을 치던 김재언(53) 씨는 “와서 봐봤자 속상하니까 그냥 안 와”라며 발걸음을 돌렸다. 아예 모내기를 포기한 마른 논들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기나긴 가뭄이 이어지면서 이 지역 특산물인 표고버섯 생산에도 비상이 걸렸다. 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원목은 수분을 머금지 못하고 바싹 말라있었다. 김 씨는 “이래서야 버섯 종균이 제대로 자리나 잡을지 모르겠다”며 “콩이나 고구마 등 다른 밭작물이라도 심으려고 해도 밭에 물기가 없다보니 농기계가 들어가면 먼지만 풀풀 날린다”고 털어놨다.

지자체가 긴급자금을 투입하고 유명 인사들의 방문이 이어졌지만 농민들의 표정은 심드렁했다. 주민 김 모(56) 씨는 “피부에 와 닿는 건 없다”며 “인근 금강 물을 끌어오는 시설을 해달라고 몇 년 전부터 요청했는데 투자가치가 없어 안 된다는 말을 들었다”며 “평소에는 관심도 없다가 가뭄 터지니까 우물 몇 개 파는 것이 고작”이라고 꼬집었다.

한 농민은 “어차피 평야나 대규모 농경지가 우선순위니까 우리 지역은 아무것도 없지 뭐…”라며 씁쓸한 웃음을 지었다.

노컷뉴스

※위 기사는 기사콘텐츠교류 제휴매체인 노컷뉴스 기사입니다. 모든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노컷뉴스에 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