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서울경찰청장 “대법원 판결만 봐도 용산 진압은 정당” 철거민 유가족 정영신씨 “말단 경찰도 희생양 나쁜 건 책임자죠”
●김 “총선 낙선, 그때 영향 있겠죠”
김 전 청장은 ‘두 개의 문’의 흥행몰이가 불편한 사람 중 한 명이다. 김 전 청장은 18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영화를 보지는 않았다.”면서 “하지만 언젠가는 봐야 하지 않겠나. 그때 가서 영화에 대한 의견을 정확히 밝힐 날이 올 것”이라고 조심스레 입을 열었다.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가든플레이스 상영관 앞에서 한 여성이 용산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두개의 문’ 포스터 옆을 지나가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하지만 “과잉진압”이란 지적은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 전 청장은 “법적으로도 대법 판결로 경찰의 조치가 정당했다는 결론이 나오지 않았느냐.”고 잘라 말했다.
대법원이 철거민들에게 징역 4~5년을 선고한 것을 근거로 들며, “진압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나 정부의 입김도 없다고 했다. 김 전 청장은 “경찰이 불법 폭력시위를 진압하고 집행하는데 윗선에 승인받고 그러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 “우릴 범법자로 보지 말아주길”
3년 6개월 전 일이지만 유가족의 목소리는 아픔 자체다. 철거민 5명과 경찰 1명이 목숨을 잃은 그날, 시아버지 이상림(당시 72세)씨를 여의고 남편마저 구속된 유가족 정영신(40)씨는 무리한 진압을 지시한 책임자들에 대한 분노를 감추지 않았다. ‘용산참사 진상규명 위원회’에서 활동하는 정씨는 김 전 청장에 대해 “참석했다는 천도재라는 것도 숨진 경찰들을 위한 행사를 했을 때 같이 한 것이지, 철거민 희생자를 위해 별도로 만든 것이 아니다.”면서 “유세현장에 갔더니 용산진압은 정당했다고 말하더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정씨는 영화를 본 뒤 “현장에 있던 말단 경찰도 결국은 철거민과 같은 희생양일 뿐”이며 경찰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다고 했다. “영화를 보는 내내 그날 일이 떠올라 여러 번 눈을 감았다.”면서 “현장 진압 경찰도 오죽 괴로울까 생각하게 됐다. 우리처럼 하소연할 곳도 없을 텐데….”라며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정씨는 “정작 나쁜 건 건설사와 정부, 안전대책 하나 없이 사지에 몰아넣었던 책임자들이지 말단 경찰들이 아니다.”면서 “유가족들의 시간은 2009년 1월 20일에 멈춰 있다.”고 말했다. 또 “우리를 도심테러리스트 같은 가해자, 범법자로 보지 않길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2-07-2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