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봉산리 등 10곳 불산 대기 잔류량 측정… 주민들·환경전문가 반응
지난달 27일 구미국가산업단지 4단지 화학공장 불산 누출사고 2, 3차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립환경과학원이 8일부터 정밀 측정 장비를 동원해 불산 대기 잔류량 측정에 들어갔다. 정밀기계로 2차 피해지역의 불산 잔류량을 확인하는 건 사고 이후 10여일 만에 처음이다.![8일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를 입은 경북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 주민들이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촉구하는 플래카드 옆을 지나가고 있다. 정부는 이날 불산가스 누출사고 현장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구미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0/08/SSI_20121008165826.jpg)
구미 연합뉴스
![8일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를 입은 경북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 주민들이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촉구하는 플래카드 옆을 지나가고 있다. 정부는 이날 불산가스 누출사고 현장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구미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0/08/SSI_20121008165826.jpg)
8일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를 입은 경북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 주민들이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촉구하는 플래카드 옆을 지나가고 있다. 정부는 이날 불산가스 누출사고 현장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구미 연합뉴스
구미 연합뉴스
시민환경연구소 김정수 부소장은 “사고 발생 12일 만에 대기오염도를 측정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지는 모르겠다. 이번 조사가 정밀 측정이라고 하지만 정밀도가 어느 정도인지도 모르겠다.”고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며 주민들은 “피해가 발생한 이후 뒤늦게 조사한다는 것이 무슨 큰 의미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이번 조사가 주민들의 불안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과학원은 사고 발생 다음 날 새벽에 봉산리와 임천리 일대에서 대기오염도를 측정했으며 사고지역의 불산 농도가 1으로 기준치 이하라며 인체에 영향이 없다고 구미시에 전화 통보를 한 뒤 철수했다. 이날 과학원은 사고 지점과 남동쪽 1.3㎞ 떨어진 곳 등 4곳에서만, 정밀기기가 아닌 pH 페이퍼·검지관 등 간단한 검사만 할 수 있는 속성측정기기를 사용해 불산 잔류량을 측정했다.
그러나 과학원의 이러한 측정은 간이측정법에 불과해 불산이 어느 정도 누출됐는지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따라서 불산 누출사고 현장과 5㎞가량 떨어진 낙동강과 6㎞ 정도 떨어진 구미광역취수장의 수질 오염이 의심스러운 상황이다.
구미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2-10-0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