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인 50년 대모 “애들 일자리 좀…”

뇌성마비인 50년 대모 “애들 일자리 좀…”

입력 2012-10-23 00:00
수정 2012-10-23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3일 한국뇌성마비복지회장상 수상 지봉이 할머니

“내 자식인 근영이에겐 내가 뭘 잘못해 줬나 싶어 늘 미안해요.”

지봉이 할머니가 뇌병변장애 1급인 막내아들 박근영씨와 사진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지봉이 할머니가 뇌병변장애 1급인 막내아들 박근영씨와 사진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50여년간 중증 뇌성마비 아들을 품어 기른 지봉이(75) 할머니는 뇌병변장애 1급인 막내아들 박근영(49)씨를 보면 지금도 미안함이 앞선다고 했다. 빠듯한 살림에 오남매를 기르면서 장애를 가진 아들에게 혹시 소홀했던 점이 있었을까 하는 마음에서다.

지 할머니는 일생을 오롯이 아들에게 헌신했다. 자신의 아들보다 더 어려운 여건에 있는 뇌성마비인에게도 후원과 봉사를 아끼지 않았다. 이 때문에 뇌성마비 자녀를 둔 부모들은 지 할머니를 ‘뇌성마비인의 대모’라고 입을 모은다. 23일 한국뇌성마비복지회에서 주최하는 제30회 오뚝이 축제에서 지 할머니는 한국뇌성마비복지회장상을 받는다. 오뚝이 축제는 뇌성마비인들의 연례 행사로 어려워도 다시 일어날 것을 다짐하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 할머니는 수상소감을 묻자 손사래부터 쳤다.

“부모가 자기 자식 뒷바라지하는 게 뭐 칭찬받을 일이라고…. 나는 정말 아무것도 한 것이 없어요. 그나저나 비가 오면 어쩌죠. 우리 애(뇌성마비인)들은 비가 오면 이동하기가 쉽지 않아요.”

지 할머니는 2008년 서울 노원구 상계동 시립뇌성마비복지관에 570여권의 도서를 기증해 뇌성마비인을 위한 북카페 조성에 힘을 보탰다. 쌈짓돈을 모아 조금씩 시작한 기부금은 현재 260여만원이 됐다. 기부금은 좀 더 어려운 뇌성마비인들을 위해 쓰였다.

지 할머니는 2년 전 대장암 수술을 받고도 복지관에서 운영하는 뇌성마비인 기업 ‘꿈을 일구는 마을’ 부모회에 매일 참석한다. ‘꿈을 일구는 마을’은 불모지나 다름없는 뇌성마비인 직업 재활을 위해 시립뇌성마비 복지관이 운영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이다. 아들 박씨도 ‘꿈을 일구는 마을’에서 일하는 어엿한 사회인이 됐다.

손과 발이 모두 자유롭지 않은 박씨는 발가락으로 아름다운 무늬를 그려내는 칠보공예 작가가 됐다. 지금은 박씨와 같은 뇌성마비인 10명이 꿈을 일구는 마을에 모여 공예품을 만들어 낸다.

지 할머니는 뇌성마비인들이 한땀 한땀 만들어낸 공예품을 가져다 외부에서 판다. 작품 전시일도 할머니의 몫이다. 복지회 관계자는 “지 할머니가 워낙 자주 얼굴을 비추다 보니 아들뿐만 아니라 아들의 동료들도 지 할머니를 따른다.”고 입을 모은다.

지 할머니는 이제 가는귀가 먹었다. 오랜 세월 아들을 부축해 왔던 오른쪽 팔 인대가 파열돼 최근 봉합수술을 받았다. 의사는 “어떻게 이 지경이 되도록 병원에 한번을 안 왔냐.”고 핀잔을 줬다고 한다. 그래도 지 할머니는 남은 시간 동안 뇌성마비인들의 직업 찾기를 돕는 데 힘쓰고 싶다고 말했다.

“뇌성마비 장애인이 직업을 갖기가 가장 어렵잖아요. 우리 애들이 직업을 갖고 당당하게 지낼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글 사진 명희진기자 mhj46@seoul.co.kr

2012-10-2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