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녀·호모’…“성소수자 95%·여성 84% 온라인혐오 피해”

‘김치녀·호모’…“성소수자 95%·여성 84% 온라인혐오 피해”

입력 2017-02-19 14:12
수정 2017-02-19 14: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권위, 혐오표현·규제방안 실태조사 결과 발표

성적 소수자의 94.6%가 온라인에서 혐오표현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숙명여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지난해 8월13앨∼9월29일 만15∼59세 성소수자·여성·장애인·이주민과 소수자가 아닌 남성 각 200여명씩 총 1천1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와 대면조사를 벌인 결과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실태조사는 혐오표현과 관련해 국내에서 처음 실시된 것이다.

온라인 혐오표현 피해 경험률은 성소수자가 94.6%로 가장 높았고 이어 여성(83.7%), 장애인(79.5%), 이주민(42.1%) 순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혐오표현 피해 경험률도 성소수자가 87.5%로 가장 높았다. 장애인(73.5%), 여성(70.2%), 이주민(51.6%)이 그 뒤를 이었다.

자신의 정체성(성소수자·여성·장애인·이주민) 때문에 비난을 받을까 봐 두려움을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성소수자의 84.7%, 장애인의 70.5%, 여성의 63.9%, 이주민의 52.3%가 ‘어느 정도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증오범죄 피해 우려에 대한 질문에는 성소수자가 92.6%, 여성의 87.1%, 장애인의 81%가 ‘그렇다’고 답해 단순한 비난의 두려움보다 증오범죄 피해 우려가 오히려 더 컸다.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증오범죄 피해 우려에 ‘매우 그렇다’고 답한 비율이 과반 이상인 51%를 기록했다. 이주민들도 증오범죄를 우려하고 있다는 답이 44.4%로 나타났다.

여성에 대한 온라인 혐오표현으로 가장 많은 응답은 ‘김치녀’였고,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표현은 ‘변태’·‘호모’가 가장 많았다. 장애인에 대한 혐오표현은 주로 장애인들을 징그럽고 냄새가 날 것이라고 비난하는 내용이 많았고, 이주민에 대해서는 ‘일자리를 빼앗는다’거나 ‘테러리스트’라는 비난이 주를 이뤘다.

인권위는 혐오표현 피해를 겪은 소수자들이 낙인과 편견으로 일과 학업 등 일상생활에서 배제돼 두려움과 슬픔을 느끼고 있었으며, 자살 충동·우울증·공황발작·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에 시달리고 있었다고 밝혔다.

장애인의 58.8%가 혐오표현을 접한 이후 스트레스나 우울증 등 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했다고 답했고, 이주민과 성소수자도 각각 56%와 49.3%가 같은 답변을 했다.

인권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관계자 의견을 수렴해 혐오표현 예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