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운 입은 의사 행동반경은…외부활동 규제 법안 논란

가운 입은 의사 행동반경은…외부활동 규제 법안 논란

입력 2017-04-11 09:11
업데이트 2017-04-11 09: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감염관리에 안 좋지 않나” vs “‘작업복’일 뿐 의료행위와 무관”

10일 서울 시내에 자리한 한 대학병원의 구내식당. 점심시간이 다가오자 의사 가운과 간호사복을 입은 의료인들이 길게 줄을 서기 시작했다.

잠시 후 식사를 마친 일부 의사와 간호사는 병원 인근에 있는 카페를 찾아 삼삼오오 커피 등 후식을 즐긴 뒤 각 병동으로 흩어졌다.

지인 병문안을 왔던 박금란(59ㆍ여)씨는 “의사들이 워낙 바쁘니까 그런 것 같다”면서도 “다만 의사 가운과 간호사복을 입은 채 아무렇지도 않게 외부활동을 해도 감염관리에 별문제가 없는지 걱정스럽기는 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신경민 의원은 의사나 간호사가 가운ㆍ수술복ㆍ진료복 등을 입은 상태에서 외부활동을 자제하도록 하는 법 개정안을 지난해 7월 발의했다. 이 법안은 그러나 의료계의 반발에 부딪혀 10개월째 국회에 계류 중이다.

신 의원은 의사와 간호사들이 평소 복장 그대로 병원 주변의 음식점과 카페를 찾는 게 위생상 좋지 않은 것 같다는 지역구 주민들의 민원을 참고해 해당 개정안을 발의했다.

의원실 관계자는 “의료계가 의료인을 ‘잠재적 감염 매개체’로 보는 과잉 입법이라는 논리로 강하게 반대했다”며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지는 의료인을 부정적으로 볼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를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게 개정안을 발의한 목적”이라며 “진료실에서만 의사 가운과 간호사복을 입도록 관리하는 게 조금이라도 추가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의료계의 반론도 만만치 않다.

대한의사협회는 의료인의 복장 규정까지 법으로 강제하는 조치는 심각한 인권 침해를 초래할 수 있으며 선량한 의료인을 잠재적 범법자로 몰고 가는 ‘악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주현 의협 대변인은 “수술실에 들어가는 복장은 따로 있다”며 “진료일정에 바쁜 의사와 간호사에게 복장 규정까지 정하는 것은 오히려 환자 안전 및 의료 서비스 수준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미숙 경희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병원마다 내부 규정을 통해 정기적으로 가운 등을 세탁하고 있고 수술을 할 때는 다른 옷(수술복 등)을 착용하므로 감염 위험성은 높지 않다”며 “의사 가운과 간호사복은 환자와 보호자가 직종을 알 수 있는 ‘작업복’ 개념으로 판단하는 게 옳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