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직 문제해결능력 최하위…전문직 교육·훈련 기회 부재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문제해결 능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위 임원이나 전문직의 문제해결 능력이 크게 뒤처진 것으로 파악됐다.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문제해결 역량을 키우려면 직업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비정규직의 고용 안정을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7/03/SSI_2017070317442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7/03/SSI_20170703174429.jpg)
OECD의 2012~2016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16~65세 한국 근로자의 문제해결 능력 활용도는 조사 대상 33개국 중 29위에 머물렀다. 읽기·쓰기·수리능력 활용도는 OECD 평균과 비슷했지만 유독 문제해결 능력만 뒤처졌다. 특히 고위 임직원이나 관리직, 전문직 등 고숙련직의 문제해결 활용도가 OECD 평균을 100으로 봤을 때 90 수준에 그쳤다.
보고서는 업무 관련 전문지식을 습득할 기회가 부족한 점을 이유로 꼽았다. 직장 내 교류나 동료 간 협력 정도가 매우 낮은 직장문화도 문제해결 능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구조적으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괴리가 큰 이른바 ‘노동시장의 이중 구조’ 역시 문제로 지적됐다.
김 연구위원은 “고용이 불안하거나 열악한 일자리에서는 기업이 문제해결 능력 활용에 필요한 전문교육을 근로자에게 충분히 제공하기 어렵고 근로자도 자신의 역량을 활용할 동기가 낮다”면서 “기업이 임금과 근로시간 등 근로조건을 탄력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안정적인 고용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7-0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